국회 기재위 ‘내집완박’ 지적…이창용 “부동산 과열, 종합적 정책으로 막아야”
(서울=NSP통신) 최아랑 기자 = LG에너지솔루션이 POSTECH·성균관대학교와 공동으로 리튬이온전지의 저온 성능과 열안전성을 동시에 개선한 전해질 기술을 개발, 극저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 상용화 가능성을 열었다.
공동연구팀은 알릴 트리메틸 포스포늄(Allyl Trimethyl Phosphonium·APT) 계열 이온성 화합물을 전해질에 적용해 영하 20도 환경에서 100회 충·방전 후 약 87%의 용량을 유지하고 열폭주를 약 90% 이상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
APT 계열 화합물은 전해질의 동결점을 낮추고 계면 반응을 안정화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 전해질 내 이온 이동 저하와 계면 불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하나의 이온성 화합물 플랫폼으로 성능과 안전성이라는 상충된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킨 사례”라며 “APT 기반 전해질 기술은 전기차뿐 아니라 항공·우주, 극저온 환경용 배터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고객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회사 측은 “양산 시점은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밝혔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