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충남도, '2019 탈석탄 기후변화 대응 국제 컨퍼런스' 개최

NSP통신, 맹상렬 기자, 2019-10-22 17:16 KRD7
#충남도 #양승조 #탈석탄 #기후변화 #공동대응
NSP통신-▲충남도가 2019 탈석탄 기후변화 대응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충남도)
▲충남도가 2019 탈석탄 기후변화 대응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충남도)

(충남=NSP통신) 맹상렬 기자 = 충남도(지사 양승조)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방정부들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실천 방안을 공동으로 마련해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다.

한국, 일본, 대만 등 7개 지방정부는 22일 충남도가 개최한 ‘2019 탈석탄 기후변화 대응 국제 컨퍼런스’ 개회식에서 ‘동아시아 지방정부 기후변화 대응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동아시아 지방정부들은 공동선언문을 통해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우리 생태계를 위협하는 전 지구적 현안”이라며 “이제 우리 모두는 미래세대를 위해 지금부터라도 친환경에너지로의 전환,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해 나아갈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G03-8236672469

동아시아 지방정부들은 이어 “적실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실천 방안을 마련하고 공동 추진해 나아갈 것을 다짐한다”며 ▲지속가능하고 실효성 있는 기후변화 정책 추진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강화 ▲실현가능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 및 실천과제 이행 ▲기후변화 대응 정책 추진 사례 공유 및 정보 교환 등 소통·협력 강화 ▲(가칭) 동아시아 지방정부 기후환경 연합 구성 적극 참여 등을 약속했다.

‘충청남도 기후 비상상황’은 공동선언문 채택에 앞서 양승조 지사와 유병국 도의회 의장, 주민 대표로 나선 황성렬 노후석탄화력 범도민대책위 상임위원장이 공동으로 서명하며 선포했다.

양 지사 등은 선포문을 통해 “충남도는 이미 기존 석탄화력발전소를 단계적으로 폐쇄하고 친환경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정책 추진에 앞장서고 있으며 지난해 대한민국 최초로 ‘언더투 연합’과 아시아 최초로 ‘탈석탄 동맹’에 가입하는 등 온실가스 감축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양 지사 등은 이어 “충남도는 기후변화로부터 안전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 도의회, 도민과 함께 기후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을 다짐하며 기후 비상상황을 선포한다”고 밝혔다.

양 지사 등은 그러면서 ▲기후 위기에 대한 도민의 자발적 참여와 공감대 확산 ▲재생에너지로의 전환 적극 추진, 모든 석탄화력발전소의 조속한 폐쇄를 목표로 탈석탄 정의로운 전환 정책 적극 지원 ▲기후변화 대응에서 기후 위기 대응으로 정책 강화,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 달성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올해 컨퍼런스는 오는 2021년 신기후체제에 대비, 국내·외 중앙 및 지방정부의 탈석탄·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공유하고 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해 ‘탈석탄 기후변화 대응, 지역에서 세계로’를 주제로 마련했다.

이날 행사에는 양 지사와 반기문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 이춘희 세종시장, 이재명 경기도지사, 주한 영국·프랑스·EU 대사, 전문가, 기업인, 주민 등 500여명이 참가했다.

개회식은 충청남도 기후비상상황 선포, 동아시아 지방정부 기후변화 대응 공동선언에 이어 반기문 위원장과 사이먼 스미스 주한영국대사 등의 특별·기조연설, 퍼포먼스 등의 순으로 열렸다.

이어 ‘충남을 넘어 아시아로 세계로’를 주제로 한 1세션에서는 한국, 미국, 유럽, 독일, 인도 등의 탈석탄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 사례가 발표됐다.

2세션 ‘탈석탄 지방정부들의 역할과 노력’에서는 충남과 EU, 프랑스, 남호주 등이 탈석탄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 사례를 공유했다.

양승조 지사는 “충남도는 이번 컨퍼런스를 계기로 탈석탄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더욱 선도적으로 추진해 나아가겠다”며 ▲2050년까지 석탄발전량 ‘제로’ 및 재생에너지 발전량 47.5% 확대 ▲2026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14기 친환경 발전소로 전환 ▲건축물 신축 시 친환경 에너지 기준 적용 ▲탄소흡수원 지속 확충 ▲사업자 온실가스 배출 억제 조치 강구 ▲차 없는 날·승용차 요일제·자전거 이용 활성화 ▲노후차량 운행 단속 시행 ▲대기오염물질 배출업소 단속 강화 등을 중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NSP통신 맹상렬 기자 smartre@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
[NSPAD]삼성전자
[NSP7컷]인터넷은행의 혁신적인 배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