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이광용 기자 = 대동(012860)의 2분기 매출액·영업이익은 1%·52%(YoY) 감소한 1800억원·58억원(OPM 3.2%, -3.4%p (YoY))을 기록하면서 부진했다.
상반기 누적 기준 매출액·영업이익은 3558억원·118억원으로 각각 0%·49% (YoY) 감소했다.
국내 본사의 경우 매출액이 3%(YoY) 증가했으나 원가율이 상승하면서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20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7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중국 법인은 수익성이 크게 하락했다. 매출액은 2% (YoY) 증가했으나 순이익은 49% (YoY) 감소하면서 순이익률이 전년 동기의 12.5%에서 올해 상반기 6.3%로 6.2%p (YoY) 하락했다.
2014년 실적에서 중국 법인의 이익비중이 75%였다는 점에서 중국에서의 부진은 주가반등을 제약하고 있다.
중국 소주화창(지분 32.5%, 우창정기 32.5% 보유분 포함 65%)은 중국 자동차 시장의 수요둔화와 고객사의 출하부진 등으로 고전 중이다.
1분기 매출액이 491억원으로 10% (YoY) 증가했으나 순이익은 23억원(NIM 4.6%, -8.9%p (YoY))으로 63% (YoY) 감소했었는데 2분기에는 매출액·순이익이 각각 6%·31% (YoY) 감소했다(순이익률 8.3%(-3.1%p (YoY)).
송선재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중국 자동차 수요부진이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이고 전년 동기의 순이익률이 14.9%로 높으며 고객사들의 출하부진이 5월 이후 확대됐다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소주화창의 실적은 하반기에도 전년 동기대비 부진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그는 “현대·기아의 신차(투산·K5·스포티지 등) 투입과 마케팅 강화로 2분기·3분기의 부진 대비로는 개선될 수 있고 내년 기아 3공장 증산과 현대 4공장·5공장 신설에 따른 동반 성장의 기회는 열려 있는 편이다”고 전망했다.
본 정보(기사)는 해당 업체에서 제공한 투자 참고용 자료로 NSP통신 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NSP통신/NSP TV 이광용 기자, ispyone@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