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P통신) 강영관 기자 = 재테크를 할 때 점검을 해봐야 하는 부분 중 하나가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다. 보통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50% 이상이면 적당한 수준이라고 평가를 한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매매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줄어들고 있어 내집마련 하기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2일 내집마련정보사가 2006년~2009년까지 서울 지역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을 조사한 결과 평균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해마다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가장 작은 지역과 가장 높은 지역의 격차도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6년 7월에는 서울 평균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41%였으나 2007년에는 7월 40.6%로 줄어들었고, 지난해 7월 38.6% 그리고 올해 같은 기간에는 38.4%로 줄어들었다.
작년 하반기에 금융위기로 인해서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값이 크게 떨어진 가격이 최근 회복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올 하반기에는 서울 평균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더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과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간의 격차도 해마다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06년에는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가장 낮았던 지역은 강남구로 25.8%였고, 반면 가장 높았던 지역은 서대문구로 52.1%를 기록하면서 격차가 26.3%를 보였다. 2007년에는 강남구 26.8%와 서대문구 51.1%로 격차는 24.3%, 2008년에는 강남구 27.5%와 은평구 47.8%로 격차는 20.3%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에는 최근 강동구의 집값이 크게 오르면서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가장 낮게 형성이 되면서 28.2%를 보였고, 역시 가장 높은 지역은 서대문구로 45.5%로 격차는 17.3%로 크게 줄어들었다.
한편, 올해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낮은 지역 10위권 순위에서는 용산구, 마포구, 도봉구를 제외한 모두 한강 이남에 지역이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그동안 1위를 굳건히 지켰던 강남구를 재치고 강동구가 28.2%를 기록하면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강남구 28.5% ▲용산구 29% ▲서초구 30.1% ▲송파구 30.8% ▲양천구 34.6% ▲영등포구 35.7% ▲강서구 36.2% ▲마포구 37.9% ▲도봉구 38.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높은 지역으로는 ▲서대문구 45.5% ▲은평구 44.5% ▲중구 44.3% ▲동대문구 43.7% ▲종로구 43.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내집마련정보사 양지영 팀장은 “강남.송파.서초구 등 강남3구처럼 3.3㎡당 가격이 높은 지역은 2006년 이후 변화 폭이 크지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저렴했던 강북권 매매값이 오르면서 평균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줄어들고 있다”며 “최근 몇 년 동안 강북권 지역은 재개발 및 뉴타운 등의 개발 호재로 매매가격이 크게 올랐던 것이 큰 원인”이라고 말했다.
DIP통신, kwan@dipts.com
<저작권자ⓒ 소비자가 보는 경제뉴스 통신사 : DI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