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김소연 기자 = 오는 29일 개봉을 앞둔 영화 26년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뜨거워지고 있다.
해당 영화사에 따르면, 온라인과 SNS 상에서는 제작두레에 참여해 시사회에 초대받지만 개봉 극장에서 다시 보겠다는 두레회원과 개봉하면 부모님들을 모시고 온 가족이 다 함께 영화를 관람하겠다거나, 개봉과 동시에 극장으로 달려가겠다는 직장인 등 다양한 관람 층이 벌써부터 관람을 예약하고 있다.
특히 연말과 어우러져 직장 동호회 등에서 송년 행사로 기획하고 단체관람을 문의하고 있다.
이 가운데에서도, 중고등학생들의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웹툰 원작으로 먼저 26년을 접한 학생들이 개봉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고 학교의 역사 선생님들이 영화를 소개하며 관람을 추천하기도 한다는 말들이 SNS를 통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영화 26년은 1980년 5월 광주의 비극과 연관된 조직폭력배, 국가대표 사격선수, 현직 경찰, 대기업 총수, 사설 경호업체 실장이 26년 후 바로 그날, 학살의 주범인 ‘그 사람’을 단죄하기 위해 작전을 펼치는 액션 복수극이다.
강풀의 동명 원작 웹툰은 2006년 포털 사이트 다음에서 연재될 당시 뜨거운 반향을 일으키며 연일 화제를 이끌어냈던 작품이다.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소재로 다루고 있는 덕분에 일반 성인 관객들뿐만 아니라 중고등학생들이 원작을 접하면서 과거 우리 나라에서 일어났지만 그 동안 몰랐던 역사에 대해 알게 됐다는 소감이 줄을 이은 바 있다.
2006년 네티즌선정 최고의 만화로 선정됐고 2006년 독자만화대상 온라인만화상과 2007년 독자만화대상 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 그만큼 폭넓은 연령의 팬 층을 확보하면서 모든 사람들이 영화화를 손꼽아 기다렸고, 영화의 개봉일이 확정되면서 더욱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고등학생들에게 절대적인 지지 속에 남다른 관심을 받고 있다. SNS를 통해 “저희 역사선생님께서도 아이들에게 곧 26년이 개봉한다며 수업 중 홍보를 하시고~ 기회가 된다면 꼭 한 번 보러 가라는 말도 빼놓지 않으셨습니다^_^”, “설마 청소년관람불가 등급은 아니겠지! 꼭 보러 간다”, “친구들이랑 꼭 보러 갈 거예요”라는 기대감을 올리고 있다.
실제로 학생들의 단체관람 문의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현재 한국사를 강의하고 있는 강민성 선생의 주최로 단체관람을 진행할 예정이다.
강민성 선생은 “대학 수학능력시험에서 우리나라의 역사, 즉 국사와 근현대사를 공부한 친구들에게 부모님 세대가 목격한 역사를 보다 생생하게 보여줌으로써 잊혀져 가는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고 싶었다”며 단체관람의 목적을 밝혔다.
예전 인터뷰에서 강풀 작가는 “지금도 우리보다 어린 세대들은 5.18과 8.15를 헷갈려 한다. 그건 그 친구들 잘못이 아니다. 나이가 좀더 들고 알고 기억하는 우리가 제대로 전달자 역할을 못했다고 생각한다”며 “나는 모든 만화는 재미 위주로 그렸는데 이번 만화는 그런 목적 의식이 있었고, 광주를 기억하게 하고 싶었다, 가장 큰 목적이었다”고 이야기 한 바 있다.
때문에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던 학생들에게 웹툰과 영화를 통해 알릴 수 있다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미 1만 5000명의 제작두레로 순 제작비 46억 원 중 7억 원을 모으며 관심을 증명한 데 이어 전 세대를 폭넓게 아우르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는 영화 26년의 이후 흥행 성적에도 역시 청신호를 밝히고 있다.
후궁: 제왕의 첩, 마이웨이, 형사 듀얼리스트(Duelist), 장화, 홍련, 음란서생 등의 영화에서 감각적인 미술로 각종 영화제 미술상을 휩쓴 실력파 조근현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은교, 내 사랑 내 곁에, 모던보이의 김태경 촬영감독과 화차, 돈의 맛, 하녀의 김홍집 음악감독, 은교, 불신지옥의 작품과 장화, 홍련부터 형사 듀얼리스트까지 조근현 감독의 미술팀에서 일했던 김시용 미술감독 등이 참여해 영화적인 완성도를 높였다.
진구, 한혜진, 임슬옹, 배수빈, 이경영, 장광, 김의성, 조덕제 등의 배우들이 출연해 열연을 펼쳐 보인다.
대한민국을 흥분시키는 2012년 최고의 화제작 26년은 사상 유례 없는 140여 회 3만 10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서울,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제주까지 전국 6개 도시에서 대규모 시사회를 진행한 후 오는 29일 개봉한다.
김소연 NSP통신 기자, goodjob@nspna.com
<저작권자ⓒ 국내유일의 경제중심 종합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