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금융당국, 새해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 정조준

NSP통신, 강수인 기자, 2022-01-04 14:47 KRD8
#경제부총리 #한국은행 #정무위원회 #기획재정부 #가계부채관리
NSP통신- (강수인 기자)
(강수인 기자)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주요 금융기관장은 범금융권 신년사를 통해 가계부채·유동성 등 리스크 요인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해 달라고 강조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 관리 목표(4~5%대)와 질적 건전성 제고를 위한 분할상환 확대 등의 노력들이 현장에서 확실히 이행될 수 있도록 꼼꼼히 챙겨달라”며 “정부도 가계부채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노력하면서 저소득층의 실수요 자금은 차질없이 공급되도록 충분한 한도를 부여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부채 상환부담 증가, 자산가격 변동 등에도 유의해야 한다”며 “저금리와 위기대응 과정에서 늘어난 풍부한 유동성이 조정되는 과정에서의 시장 영향이 커지지 않도록 금융권의 자체적인 점검 노력을 강화해달라”고 강조했다.

G03-8236672469

그러면서 “중저신용자들을 위한 중금리 대출 확대, 금리인하 요구권 활성화, 취약계층을 위한 채무조정, 재가지원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달라”며 “한시적 금융지원의 질서 있는 정상화 과정에서 경제·금융시장 흐름 및 방역·민생여건에 보폭을 맞춰가는 등 충격흡수 또는 연착륙을 세심하게 고려해달라”고 주문했다.

윤재옥 국회 정무위원장(국민의힘)은 “지난 한 해 우리경제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힘든 시간을 견뎌 왔고 특히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비롯한 민생경제의 고통이 매우 컸다”며 “올해 금융산업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어려움에 처한 실물경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금융지원을 이어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철저한 리스크 관리에 힘써야 한다”며 “경기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전반적인 차주의 채무상환능력은 개선되겠으나 금융완화조치의 정상화 과정에서 과도한 레버리지와 업황 부진에 직면해 있는 일부 가계 및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특히 대외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이러한 내부 취약 요인은 금융시스템의 약한 고리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더욱 예의주시하면서 잠재적 위험에 대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NSP통신 강수인 기자 sink606@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