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LG CNS, 부산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NSP통신, 이복현 기자, 2022-05-18 14:31 KRD7
#LGCNS #부산스마트시티국가시범도시 #우선협상대상자 #더인컨소시엄

여의도와 비슷한 84만평, 총 사업규모 약 5.4조원

NSP통신- (LG CNS)
(LG CNS)

(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DX전문기업 LG CNS가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구축·운영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는 국토교통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발주한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사업으로 총 사업규모는 약 5조4000억원이며 사업기간은 구축 5년, 운영 10년을 포함한 총 15년이다.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구축 사업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내 여의도 면적과 비슷한 84만평 규모의 백지상태 부지에 상업·업무·주거·문화 시설 등을 구축, 첨단 IT 신기술을 적용해 스마트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G03-8236672469

LG CNS는 AI·데이터, 자율주행, 모빌리티, 로봇, 디지털트윈, 헬스케어, 사이버보안, 스마트 IoT, 생활혁신서비스 등 DX 서비스 구축을 총괄할 계획이다.

LG CNS는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사업을 위해, 스마트시티 핵심 영역인 금융·건설·모빌리티·신재생에너지·통신·헬스케어 등의 대·중·소 기업을 모아 ‘더 인(人)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더 인(人) 컨소시엄은 주관대표사인 LG CNS를 필두로 ▲신한은행 ▲현대건설 ▲한양 ▲SK 에코플랜트 ▲LG 헬로비전 ▲휴맥스 모빌리티 ▲Korea DRD ▲윈스 ▲엔컴 ▲이에이트 ▲헬스커넥트 등 12개사로 구성돼있다.

LG CNS는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사업을 총괄하고, AI·데이터 기반 스마트서비스 구축과 운영을 담당한다. ▲신한은행은 도시의 미래금융 서비스와 재무적 투자 ▲현대건설과 한양은 스마트시티 선도지구 건설 ▲SK 에코플랜트는 신재생에너지 ▲LG 헬로비전은 스마트 IoT ▲휴맥스 모빌리티는 공유모빌리티와 주차 ▲Korea DRD는 부동산 개발 △윈스는 사이버 보안 ▲엔컴은 스마트서비스 구축과 운영 ▲이에이트는 디지털트윈 ▲헬스커넥트는 스마트 헬스케어를 담당할 계획이다.

한편 LG CNS는 대한민국 첫 국가시범도시인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구축 사업자로도 지난해 선정된 바 있다.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또한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와 유사하게 83만평 규모의 백지상태 부지에 스마트시티를 구축하는 사업이며, 사업규모 또한 약 3.2조원에 달한다. LG CNS는 국토부, LH, 세종시, 컨소시엄 12개사와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구축에 대한 사업시행합의를 지난달 체결했다.

LG CNS는 17년 전부터 스마트시티 사업을 진행해왔다. 서울시 U-서울마스터플랜 수립, 판교 U-city, 청라 U-city, 마곡 U-city 구축 등 2000년대의 스마트시티라 불리는 U-city 구축 사업을 다수 수행했다. 세종 5-1생활권 기본구상에 참여해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모델을 그렸으며, 제주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전략 수립, 해남 솔라시도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사업도 완료했다.

LG CNS 대표 김영섭 사장은 “LG CNS의 DX 기술력을 바탕으로 도시에서 발생하는 민간과 공공 데이터를 융합, 데이터로 함께 숨쉬고 성장하며 시민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혁신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를 구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NSP통신 이복현 기자 bhlee2016@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