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김세용 GH 사장, “경기도형 공공분양주택 도입으로 온전한 자가주택 제공 할 것”

NSP통신, 정의윤 기자, 2023-09-04 12:19 KRX7
#경기도형공공분양주택 #공공분양주택 #지분적립형 #지분적립형분양주택 #GH

GH, 경기도형 공공분양주택 ‘지분적립형’ 분양주택 도입
광교신도시 내 A17블록 첫 도입, 2025년 착공 및 2028년 후분양 일정 추진

NSP통신-김세용 GH 사장이 경기도형 공공분양주택 도입과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 GH)
김세용 GH 사장이 경기도형 공공분양주택 도입과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 GH)

(서울=NSP통신) 정의윤 기자 = 김세용 GH 사장은 “주거안정과 주거사다리 역할을 제공하기 위해 경기도형 공공분양주택(지분적립형 분양주택)을 도입하겠다”며 “이를 통해 도민에게 온전한 자가주택을 살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4일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형 공공분양주택’인 ‘지분적립형’ 분양주택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김세용 GH 사장은 “현재 물가 변동을 고려한 가계의 실질경상소득 정체되고 구간별 가구소득 격차는 확대되고 있지만 신규 주택공급 물량은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G03-8236672469

이어 “소득대비 주택가격은 급격히 상승하고 자가보유율은 정체되는 등무주택 서민의 소득수준으로는 주택 매매시장으로 진입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며 “임차시장의 월세 거래는 증가하고 있지만 임차거주기간은 단축되는 등 임차인의 주거불안 또한 지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김 사장은 “경기도형 공공분양주택을 통해 지분적립형 분양주택 유형을 경기도에 도입하고 전용면적 60㎡이하 주택을 원가에 최소이윤을 더한 값으로 후분양 공급함으로서무주택 도민의 자가진입 장벽을 낮추겠다”고 말했다.

또 “GH는 현행 법령 테두리 내에서 부담 가능한 공공분양주택을 속도감 있게 공급해 주거취약계층의 주거안정과 주거사다리 역할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김 사장은 “지분적립형 분양주택은 공공주택특별법 제2조 등에 규정됐다”며 “주택에 대한 지분을 20~30년에 걸쳐 분할 취득하는 공공분양주택으로 분양가 일부를 최초 부담하여 주택 지분 일부를 취득한 후 최초 분양가에 1년만기 정기예금이자를 가산한 금액으로 잔여지분을 취득하는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공공지분의 사용료는 주변전세 시세의 80% 이하로 지분 취득비율이 커질수록 점차 인하된다”며 “거주의무는 5년, 전매제한은 10년이며 전매제한 이후 제3자 거래가 허용되고 지분에 따라 차익을 배분해 추가 공공환수가 없는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수분양자는 입주시 주택지분의 25%를 취득하고 향후 20년간 지분을 추가 취득하면 온전한 자가주택을 소유하게 된다”며 “현재 시점 기준으로 25평형의 예상 분양가가 5억원이고 예금이자율이 2%일 경우 20년간 총 지분취득액은 5억9000만원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김 사장은 “성실하게 직장에 다니는 도민이라면 누구나 내 집 마련이 가능한 혁신적 분양주택 모델 마련으로 도민에게 온전한 자가주택을 살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번 도에 도입되는 경기도형 공공분양주택인 지분적립형 분양주택을 광교신도시 내 A17블록에 국내 최초로 도입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34평형 일반분양주택 360가구와 함께 25평형 지분적립형 분양주택 240가구를 후분양으로 공급하겠다”며 “행정절차를 거쳐 오는 2025년에 착공 및 2028년 후분양 일정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또 “시범사업 추진을 통해 3기 신도시 등 공급 확대 기반을 마련하겠다”며 “GH는 도민의 주거안정과 주거사다리 제공을 위해 노력해야 할 의무가 있기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