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강은태 기자 = 우원식 국회의장이 지난 26일부터 30일까지 4박 5일간의 몽골 방문을 마치고 30일 귀국한다.
이번 순방은 한·몽 수교 35주년을 계기로 이루어진 12년 만의 공식방문으로 우 의장은 몽골 대통령, 국회의장 등 최고위급 인사들과 공급망 등 경제 분야, 기후 분야 등에서의 양국 간 실질적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광복 80주년을 맞아 몽골 내 독립유적지 관리·보존 노력을 강화하는 등, 경제·기후협력과 보훈 외교 전반에서 실질적 성과를 거뒀다.
◆몽골 최고위급 인사들과 핵심 광물 탐사 등 실질적 경제협력 강화
우 의장은 28일 몽골 후렐수흐 대통령, 아마르바야스갈랑 국회의장 등 최고위급 인사와의 연이은 면담을 통해 양국 간 실질 경제협력 확대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몽골과의 핵심 광물 공동탐사 등 공급망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후렐수흐 대통령은 “이번 우 의장의 몽골 방문이 몽·한 의회 교류에서 나아가 제반 분야의 교류 및 발전에 역사적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또 아마르바야스갈랑 국회의장도 “한국 측과의 협력을 통해 희소금속 협력 센터 사업이 추진되고 있음을 기쁘게 생각하며, 앞으로도 공급망 협력이 더욱 발전해나가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또 한·몽 간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발전 및 경제협력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우 의장은 “최근 미국의 상호관세,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경제동반자협정 체결을 통해 교역·투자를 확대하고 공급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자”고 제안해 몽골 측의 호응을 얻어냈다.
◆한-몽 의회외교 강화 및 기후협력 논의 이끌어
우 의장은 몽골 후렐수흐 대통령, 아마르바야스갈랑 국회의장과의 연이은 면담을 통해 양국 의회외교 활성화를 통한 긴밀한 교류·협력의 기반을 마련하고 양국이 체결한 ‘기후변화 협력 기본 협정’을 토대로 한 기후 위기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우 의장은 28일 아마르바야스갈랑 국회의장을 만나 몽골이 2024년 6월 총선으로 가장 많은 의석수와 정당을 보유한 국회가 개원한 점을 언급하면서 “의석수가 확대된 만큼 양국 의원친선협회를 중심으로 의회외교를 더욱 활성화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이에 아마르바야스갈랑 의장은 “대한민국은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고, 대한민국 의회가 끊임없이 국민과 함께 나아가는 것을 관심있게 지켜보았다”며 “러시아와 중국이라는 두 강대국 사이에 있는 민주주의 국가로서 제3의 이웃 정책을 통해 한국과의 교류 협력을 앞으로 더욱 강화하고자 한다”고 화답했다.
아울러 우 의장은 26일 친부렝 몽한의원친선협회장, 뭉흐서열 국회의원 등 몽골 측 인사들과 함께 테를지 국립공원 ‘한-몽 참여의 숲’에서 사막화 방지를 위한 식수 행사에 참여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한국 국회의 연대와 실천 의지를 보여주었다.
◆광복 80주년 맞아 몽골 내 우리 독립유적지 관리·보존 노력 강화
우 의장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독립운동가 이태준 선생 기념공원을 방문하고 올해 하반기 재개관을 앞둔 이태준 기념관의 의미를 몽골 측에 상세히 전하는 등 진정성 있는 보훈 외교를 통해 몽골 정부와 동포 사회의 깊은 공감을 이끌었다.
이태준 선생은 1911년 세브란스 의학교를 졸업하고 안창호 선생이 만든 ‘청년학우회’에 가입해 독립운동을 하다가 1914년 몽골에 병원(동의의국)을 개설하고 몽골인들에게 의신으로 추앙받아 몽골 최고 등급 훈장을 수훈한바 있다.
우 의장은 28일 아마르바야스갈랑 국회의장을 만나 “이태준 기념관은 한-몽 양국이 공유한 역사적 자산으로 양국 국민 간 우호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또 우 의장은 29일 오전 이태준 선생 기념공원을 방문해 가묘에 헌화·묵념하고, 재개관을 앞둔 이태준 기념관을 둘러보며 “이태준 선생의 정신을 이어받아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이날 우 의장은 방명록에 “한몽 친선의 상징, 이태준 선생의 독립운동·나라사랑, 인간사랑 정신을 이어가겠습니다!”고 남겼다.
이번 순방에는 더불어민주당 서삼석·고민정 의원, 국민의힘 김상욱 의원, 이원정 정책수석비서관, 박태서 공보수석비서관, 조경숙 메시지수석비서관, 정운진 외교특임대사, 구현우 국제국장 등이 함께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