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힘찬병원, 마코로봇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관련 SCIE급 논문 발표

NSP통신, 박유니 기자, 2025-05-14 10:04 KRX7
#힘찬종합병원 #마코로봇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임상의학저널

(서울=NSP통신) 박유니 기자 = 힘찬병원 정형외과팀이 국내 최초로 마코로봇 고관절 인공관절수술에 대한 연구논문을 SCIE급 국제 학술지에 발표했다. 해당 논문은 마코로봇을 이용한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시 정확한 다리 길이 측정을 위한 새로운 기준점을 제시한 연구 결과를 담고 있다.

NSP통신-정형외과 이동녕 진료원장 (사진 = 힘찬병원 제공)
정형외과 이동녕 진료원장 (사진 = 힘찬병원 제공)

병원 측에 따르면 제 1저자인 이동녕 정형외과 전문의(진료원장)을 비롯한 연구팀은 본 논문을 통해 마코로봇을 이용해 고관절 인공관절수술(전치환술) 시 다리 길이 차이를 평가하는 지표로 기존 슬개골이 아닌 대퇴골 외측 상과를 기준점으로 했을 때의 효용성을 비교 연구를 통해 입증했다.

연구팀은 지난 2023년 9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수술한 일반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환자, 슬개골 하방 또는 대퇴골 외측 상과를 기준점으로 한 마코로봇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환자 각 26명씩 총 78명을 비교했다. 이 결과 대퇴골 외측 상과를 기준점으로 한 로봇수술이 수술 후 엑스레이 영상을 비교했을 때 다리 길이 차이가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동녕 전문의는 “로봇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시 인공관절 삽입 전후의 다리 길이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수술 후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며"환자의 비만도와 움직임에 영향을 받기 쉬운 무릎 슬개골 하방보다 대퇴골 외측 상과를 기준점으로 하게 되면 이러한 점을 보완해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다리 길이를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G03-8236672469

연구 성과를 담은 '로봇 보조 고관절 전치환술에서 다리 길이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대퇴골 외측 상과의 유용성' 제하의 논문은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SCIE급 학술지인 임상의학저널에 지난 4월 게재됐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NSPAD]삼성전자
[NSP7컷]인터넷은행의 혁신적인 배신
G01-7888933544
N06
[NSPAD]KB금융지주
[NSPAD]SBI저축은행
[NSPAD]종근당
[NSPAD]하나금융
[NSPAD]CJ프레시웨이
[NSPAD]국민카드
[NSPAD]HD현대
[NSPAD]우리은행
[NSPAD]위메이드
[NSPAD]신한은행
[NSPAD]컴투스
[NSPAD]현대카드
[NSPAD]토스뱅크
[NSPAD]농협은행
[NSPAD]기업은행
[NSPAD]KT텔레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