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韓, 전 세계 ‘챗GPT’ 다운로드당 매출 2위…미국과 0.1달러 격차

NSP통신, 이복현 기자, 2025-11-27 08:44 KRX7 R4
#센서타워 #챗GPT #韓 #미국 #누적다운로드

다운로드 비중 1.5%지만 매출 비중 5.4%…누적 2억달러로 글로벌 2위

NSP통신- (이미지 = 센서타워)
fullscreen
(이미지 = 센서타워)

(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오픈AI의 생성형 AI 서비스 ‘챗GPT’가 한국에서 다운로드당 매출 기준 전 세계 2위 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센서타워 앱 퍼포먼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챗GPT’ 앱 전 세계 누적 다운로드는 14억건을 넘었고, 한국 비중은 1.5%로 21위 수준이다.

그러나 누적 매출 35억달러 가운데 미국이 약 13억달러(35.4%)로 1위, 한국이 약 2억달러(5.4%)로 2위를 차지해 다운로드 순위와는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G03-8236672469

다운로드당 매출(RPD)은 한국 8.7달러, 미국 8.8달러로 격차가 0.1달러에 불과해 앱 설치 규모 대비 높은 지불 의향을 보여준다.

2025년 한국에서는 8월에 다운로드가, 10월에 매출이 각각 최고치를 경신하며 ‘챗GPT’가 국내 앱 시장 전체에서 다운로드 1위, 매출 4위에 올랐다.

매출 상위권이 대부분 게임 앱인 점을 감안하면 비게임 앱 가운데 최상위권에 위치한 셈이다.

AI 어시스턴트 카테고리에서는 다운로드·매출·일일 활성 사용자(DAU) 모두에서 1위를 기록하며 ‘Gemini’와 ‘Claude’ 등 경쟁 서비스를 큰 격차로 앞섰다.

웹에서도 챗GPT는 한국 월간 방문 수 기준 ‘유튜브·네이버·구글·다음’에 이어 5위를 기록했다.

방문자 1인당 월 평균 체류 시간은 367분으로, 2위인 ‘네이버’ 대비 약 1.7배에 달해 문서 작성·기획·분석 등 생산성 활용이 활발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전체 방문의 약 90%가 직접 접속으로 집계돼, 검색이나 광고보다 브랜드 인지와 주소 입력을 통한 유입 비중이 높은 것도 특징이다.

센서타워는 오픈AI가 2025년 10월 한국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광고를 집행하고, 금융사와의 구독 캐시백 프로모션과 GPT-5.1 등 기능 업데이트를 통해 유료 전환을 가속했다고 분석했다.

또 한국에서는 ‘호텔 호퍼’·‘파인 다이너’·‘디지털 연애족’ 등 라이프스타일 중심 이용자가 두드러져, 일상 최적화와 개인 생산성 증대를 위한 실용 도구로 ‘챗GPT’를 활용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