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NSP통신) 김승철 기자 = 국회가 광고주협회장의 인터넷신문 윤리와 언론진흥기금 배정업무 관여에 대한 문제를 공식 제기했다.
지난 10월 29일 진행된 문화체육관광부 국정감사에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교흥 위원장은 서면질의를 통해 재벌 이익을 대변하는 광고주협회장이 언론진흥기금관리위원으로 위촉돼 활동하는 것이 타당하냐며 위촉 경위 등을 따져 물었다.
언론진흥기금관리위원회는 언론진흥기금 운용계획의 수립과 지원기준, 대상 결정 등 기금배분과 운영의 핵심사안을 결정한다.
노승만 한국광고주협회장은 지난해 2월 기금관리위원으로 위촉됐으며, 재벌 기업 출신의 현직 한국광고주협회장이 위원으로 위촉된 것은 2010년 기금관리위원회 발족 이후 처음이다.
김 위원장은 인터넷신문 생산자단체가 배제된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인신윤위)에 인터넷신문 윤리 및 자율규제 명목으로 매년 8억원의 언론진흥기금 지원에 대한 적절성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또 “인신윤위는 인터넷신문사업자의 자발적인 참여와 규율에 근간을 둔다고 표방하고 있으나 정작 현 인신윤위에는 인터넷신문 대표성을 지닌 단체나 인사가 전혀 참여하지 않고 있다”며 “대신 광고주협회가 임기 3년의 인신윤위 위원장 추천 권한을 갖는 등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인터넷신문의 대표성을 지닌 단체나 인사가 참여하지 않는 인신윤위가 자율규제라는 이름으로 심의활동을 하는 것이 맞는지, 이런 기구에 정부의 예산을 지원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인터넷신문협회와 한국기자협회는 재벌 기업의 이익을 대변하는 광고주협회가 인터넷신문 자율규제 기구를 사실상 장악하고 있는 현 구조가 언론 자율규제의 원칙과 언론진흥기금 집행 목적에 모두 위배된다는 입장이다.
인신협은 지난 9월 성명을 통해"광고주협회가 인신윤위의 거버넌스를 장악한 현 구조는 세계 어느 나라 언론윤리기구에서도 유례를 찾을 수 없는 비상식적 형태”라며 인터넷신문 자율규제 기구 거버넌스의 정상화를 위해 관계기관이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촉구한 바 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