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수원시, 공동체 문화 활성화 위한 토론회 개최

NSP통신, 조현철 기자, 2017-05-26 10:22 KRD7
#수원시 #수원 #공동체 #아파트 #공동체문화
NSP통신-토론회 참석자들이 사진촬영을 하는 모습. (수원시)
토론회 참석자들이 사진촬영을 하는 모습. (수원시)

(경기=NSP통신) 조현철 기자 = 아파트(공동주택) 공동체 문화를 활성화하려면 주민에게는 재미있고 공동체에는 의미 있는 활동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경기 수원시가 25일 영통 신나무실 7단지 동아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실에서 연 공동체 문화 꽃피우기 토론회에서 주제 발표한 은난순(가톨릭대 소비자주거학과) 교수는 “주민의 감성에 호소해 호응을 얻을 수 있는 단지 특성에 맞는 활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민이 아파트 공동체 활성화 주체돼야

G03-8236672469

은 교수는 “공동체 활성화의 주체는 주민이 돼야 한다”면서 “일회성 활동이 아닌 지속적인 공동체 활동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공동체 활성화를 이끈 활동 사례로 ▲텃밭 가꾸기 ▲기타·노래 교실과 같은 문화강좌 ▲재능기부 강좌 ▲녹색 장터 ▲주민화합 운동회 ▲작은 음악회 등을 제시했다.

현재 시 전체 주택의 73%가 아파트이고 아파트에 거주하는 시민 비율은 61%에 이른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사는 이들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층간 소음, 서로에 대한 이해 부족 등으로 입주민 간 분쟁이 날로 늘어나고 있어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아파트 공동체 문화가 활성화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은 교수는 “공동주택 특히 아파트에서 공동체 활성화가 이뤄지면 이웃 관계를 회복하고 정을 나누는 마을을 만들 수 있고 불신과 오해를 줄일 수 있다”며 “아파트 공동체 활성화 사업은 아파트 주거문화를 바꾸고 이웃 관계를 회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공동체 활성화 위해 공간, 프로그램, 봉사자 필요

은 교수는 아파트 공동체 활동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주민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간 ▲공동체 활동 프로그램 ▲주민 자원봉사자, 공동체 리더 등 활동 주체를 들었다.

곽호필 수원시 도시정책실장의 인사말로 시작된 토론회는 은난순 교수의 발표, 입주민 의견 청취·토론으로 이어졌다. 아파트 입주자와 관리소장, 수원시정 연구원 연구위원 등 전문가가 참석했다.

곽 실장은 “아파트 공동체 문화 꽃피우기의 목적은 아파트 주거문화를 바꾸고 이웃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라며 “공동체 우수단지 경진대회, 커뮤니티 플래너(공동체 설계사)·찾아가는 맞춤형 마을 학교 등 공동주택 공동체 문화 활성화 실현을 위한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아파트 민주주의 실현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월 2017 공동주택 공동체 문화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공동주택 공동체 문화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은 수원 시민의 정부 실현을 위한 전략과제 중 하나다.

기본 계획은 ▲공동주택 커뮤니티 전담 인력 확보, 커뮤니티 운영 지원 ▲아파트 민주주의 리더 체계적·지속적 양성으로 입주민 자치역량 강화 ▲공동주택 커뮤니티 활성화 공모사업 확대 등 세가지로 이뤄져 있다.

NSP통신/NSP TV 조현철 기자, hc1004jo@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