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원·위안 실거래 수요 개선 위해 환가료 등 조달비용 낮춰야”

NSP통신, 김빛나 기자, 2015-12-01 15:21 KRD3
#원위안 직거래시장 #원·위안 실거래 #환가료 #자본시장 개방

(서울=NSP통신) 김빛나 기자 =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 발전을 위해 자본시장의 개방도를 높이고 환가료 등 조달비용을 더 낮춰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환가료를 낮출 경우 실거래 수요가 개선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1일 오전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원·위안화 직거래시장 출범 1주년 기념 컨퍼런스’에서 패널로 참여한 장민영 IBK기업은행 자금운용부장은 “원·달러의 경우 환가료가 2%대지만 위안화는 6%대로 달러화보다 4%포인트 가량 비싸다”며 이같이 밝혔다. 환가가 비싸 위안화를 쓸 유인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그는 “현재 위안화 실거래 비중이 4% 정도에 불과하지만 위안화가 국제화되면 상당수준이 실거래가 차지할 것”이라며 “위안화가 아직 안정화 되지 않은 점이 반영된 것이 크겠지만 고객입장에서 환가료가 너무 비싸 실거래가 잘 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환가료는 외국환은행이 외환거래에 따르는 자금부담을 보상받기 위해 징수하는 수수료를 말한다.

G03-8236672469

장 부장은 중국 역내 위안화(CNY)와 역외 위안화(CNH) 표시채권 금리격차도 다소 왜곡된 구조라고 지적했다. 그는 “홍콩 CNH시장을 보면 단기자금의 수요가 굉장히 쎈 상태로, 일주일짜리 금리가 한 달짜리 금리보다 높은 기형적인 모습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같이 위안화가 불완전한 상황에서 고객 실거래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환가료를 낮출 필요가 있다”면서 “은행에 저리로 자금을 조달해줘서 환가료가 경쟁력이 생기면 실거래 수요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웅렬 중국교통은행 부장은 “원화로 환가료를 받다보니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라며 “위안화로 받으면 대중 무역을 하는 기업은 환위험이 없어지고 은행은 헤지를 위해 직거래 시장에 다시 참여하게 돼서 거래가 활발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위안화 직거래시장을 활용해 중국 자본시장 진출에 더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국제금융연구실 연구위원은 “아직 제한적으로만 개방된 중국 금융시장에서 한국의 금융사들이 위안화 직거래시장을 통해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 것”이라며 “이런 기회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선 국내 금융사들이 실제로 홍콩에 있는 금융사들 서비스를 따라갈 만큼의 역량을 축적하고 있느냐에 대해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금융상품 R&D(연구개발)를 통해 중국 시장과 기업을 이해하고 좋은 투자 상품을 만드는 등 시중은행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NSP통신/NSP TV 김빛나 기자, kimbn@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