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박유니 기자 = CJ제일제당의 즉석밥 브랜드 ‘햇반’이 출시 20주년을 맞았다.
1996년 12월 탄생한 햇반은 국내 상품밥 시장의 성장과 발전을 이끌며 상품밥 전체를 부르는 대명사로 쓰일 만큼 국민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특히 햇반은 최근 식품업계의 핵심으로 꼽히는 ‘가정간편식(HMR)’ 시장을 형성한 선구자 역할을 했다는 게 CJ제일제당의 자평이다.
CJ제일제당에 따르면 스무 살을 맞은 햇반은 20년 동안 17억개 이상 팔렸다. 이는 우리나라 국민 1명이 최소 30번 이상 햇반을 먹을 수 있는 양이다. 그동안 사용한 국내산 쌀의 양도 약 18만톤에 이른다. 쌀 한 가마니 80㎏을 기준으로 약 225만 가마니에 해당하는 쌀을 사용한 셈이다.
햇반은 올해 말을 기준으로 누적 매출이 1조1400억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올해 연간 매출은 1600억원으로 출시 이듬해인 1977년(40억 원)의 40배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햇반은 국민의 식생활까지 바꿨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상품밥의 대명사로 자리 잡았다. 최근 CJ제일제당이 진행한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90% 이상의 소비자가 상품밥으로 가장 먼저 햇반을 떠올렸다. 10명중 7명은 지난 1년 이내에 햇반을 사본 적이 있고, 햇반을 사 본 소비자 중 재구매 의사를 밝힌 응답자가 10명 중 9명에 달할 정도로 소비자 충성도도 높았다.
햇반의 인기와 함께 국내 상품밥 시장도 크게 성장했다. 1~2인 가구 증가와 더불어 국내 즉석밥 시장은 2011년 이후에도 여전히 10~20%에 이르는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국내 즉석밥 시장 규모만 약 2400억원으로 추정되며 내년에는 3000억원 규모를 형성할 전망이다.
햇반 역시 2011년 이후 올해까지 연평균 15%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지난 10월 말까지 시장점유율 67.2%로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
CJ제일제당은 편의성과 보관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무균포장기술 도입을 위해 80년대 말 햇반 개발 초기에만 100억원에 달하는 투자를 진행할 만큼 상품밥 개발에 집중해왔다.
일체의 미생물 침투를 불허하는 무균 포장 기술과 함께 햇반이 ‘갓 지은 밥맛’을 구현할 수 있는 핵심 경쟁력은 ‘당일 도정’이다. 쌀은 도정을 하는 순간부터 수분함량이 떨어지며 밥맛이 떨어지는데 햇반은 2010년부터 국내 최초로 자체 도정 설비를 도입해 생산 당일 도정한 쌀로 밥을 짓고 있다.
시장 전망도 여전히 밝다는 게 CJ제일제당의 분석이다. 즉석밥에 익숙한 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성장한 데다 1~2인 가구 수가 계속 늘어 간편한 즉석밥 수요는 계속 불어날 수 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김병규 CJ제일제당 편의식마케팅 담당 부장은 “지난 20년간 햇반이 추구한 변하지 않는 가치는 소비자에게 ‘갓 지은 것처럼 맛있는 밥’을 선보이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내 시장의 변화를 선도하고 소비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제품을 선보이는 한편 증가하는 상품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투자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본 기고/칼럼은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모든 책임은 정보 제공자에게 있습니다.
NSP통신/NSP TV 박유니 기자, ynpark@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