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2025년 노트북용 OLED 시장 정체…2026년부터 성장 본격화 전망

NSP통신, 이복현 기자, 2025-11-05 13:09 KRX7 R0
#유비리서치 #노트북용OLED #2025년노트북용OLED출하량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NSP통신- (그래프 = 유비리서치)
fullscreen
(그래프 = 유비리서치)

(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글로벌 노트북용 OLED 시장이 2025년 한 해 동안 정체 국면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유비리서치의 ‘중대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 트래커’에 따르면, 2025년 노트북용 OLED 출하량은 약 1000만 대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 전망이다. 3분기까지의 누적 출하량은 약 670만 대로 집계됐다.

업계는 2025년을 조정기이자 향후 성장을 위한 기반 구축 단계로 보고 있다. 현재 시장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주도하고 있으며, LG디스플레이와 EverDisplay 등이 점진적으로 출하를 확대 중이다.

G03-8236672469

OLED 패널 단가 하락과 중국 패널업체들의 2 Stack Tandem OLED, 저가형 Single OLED 생산 확대로 공급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BOE, Visionox, TCL CSOT, EverDisplay 등은 Lenovo, Dell, HP, Huawei 등 글로벌 브랜드를 대상으로 라인업을 구축하며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서고 있다.

2026년부터는 시장 구도가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의 관심은 Apple의 MacBook Pro OLED 채택 여부에 쏠려 있다. Apple은 2024년 iPad Pro에 OLED를 처음 적용했으나, 가격 인상으로 인한 제한된 수요를 경험했다. 이에 따라 MacBook 시리즈에는 비용 구조와 수요 탄력성, 공급망 안정성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

유비리서치 한창욱 부사장은 “애플이 2026년 OLED MacBook을 출시할 경우 시장은 전년 대비 30% 이상 성장하며, 2029년에는 2025년의 두 배 규모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Acer, Dell, HP 등 주요 글로벌 브랜드도 OLED 채택을 늘리며, 노트북용 OLED가 프리미엄 디스플레이의 주류로 자리 잡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