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중기부 장관,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현장방문

NSP통신, 조인호 기자, 2021-06-10 15:34 KRD7
#경북도 #이철우도지사 #중소벤처기업부 #헴프규제자유특구

권칠승 장관, 헴프(HEMP) 실증사업 추진현황 점검

NSP통신-경상북도와 중소벤처기업부는 10일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에서 권칠승 중기부 장관이 참석해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실증사업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특구사업자들의 현장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경상북도)
경상북도와 중소벤처기업부는 10일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에서 권칠승 중기부 장관이 참석해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실증사업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특구사업자들의 현장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경상북도)

(경북=NSP통신) 조인호 기자 = 경상북도와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10일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에서 권칠승 중기부 장관이 참석해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실증사업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특구사업자들의 현장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서 권칠승 장관은 “그동안 현장에 답이 있다는 생각으로 이틀에 한 번꼴로 현장을 찾았다”며, “기회가 될 때마다 규제자유특구도 방문하여 미래를 대비하는 혁신에 애로는 무엇인지 듣고, 개선사항이나 해결방안을 함께 고민하여 현장이 원하는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안동대 최형우 교수는 “‘국내외 헴프산업 동향’ 발표를 통해 미국·유럽 등 해외 주요국에서 고부가가치 바이오 산업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헴프를 소개했으며, 자유토론 시간에는 특구사업자 지원방안, CBD 해외 판로 개척, 헴프(대마)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 등 실증 과정에서 겪은 현장의 애로사항과 정책제언들이 활발히 논의된다”고 했다.

G03-8236672469

유한건강생활 강종수 대표는 “규제자유특구를 통해 헴프 산업에 오랜 염원이었던 규제의 먹구름이 가시고 있다”며, “헴프를 바이오 신소재로 개발하여 신시장을 개척할 기회로 삼겠다”면서 향후 산업화 의지를 밝혔다.

작년 7월에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경북 산업용 헴프 특구’ 는 전국 최대의 헴프 주산지인 안동을 특구 지역으로 해 그간 국내에서는 법적 규제와 사회적 통념으로 접근조차 불가능했던 헴프를 산업화하기 위한 실증을 지난 4월부터 착수, 본격적인 성과 창출에 매진하고 있다.

헴프의 안전관리를 위해 헴프의 재배부터 CBD 추출, 제조, 수출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이 블록체인 기반으로 철저히 관리될 것이다. 재배방식은 도난 등에 취약한 노지재배의 취약점을 개선하고자 스마트팜 방식을 도입하고, 헴프가 자라기 좋은 환경(온도, 조도 등)을 정밀하게 제어해 CBD 함량을 높이는 신기술이 적용 중이다.

헴프 규제자유특구는 산업화에 걸림돌이 됐던 규제 완화를 위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며, 실증을 통해 CBD 산업화를 위한 안전성과 상업성을 검증해 고부가가치 바이오 소재 산업화로 발돋움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하대성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는 “그 간 헴프는 마약으로 분류되어 엄격한 관리 아래 농업용, 학술연구용 등 일부 분야에서만 허용되어 산업용으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뒤따랐다”며, “헴프 규제자유특구의 안전적이고 체계적인 실증으로 향후 법 개정으로 이어진다면 국내 CBD 산업이 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 물꼬를 트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NSP통신 조인호 기자 eno8166@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3-823667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