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CEO인터뷰

문선희 글나무 대표, AI와 빅데이터 시대…번역의 표준화 이끈다

NSP통신, 박유니 기자, 2022-10-11 08:23 KRD2
#글나무

(서울=NSP통신) 박유니 기자 = AI 시대가 오면서 가장 먼저 없어질 대표 직업으로 글을 다루는 사람들을 꼽는다. 구글, 파파고 등 다양한 기계 번역기가 있어 언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빠르고 쉽게 세계와 소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언어의 본질과 문제에 집중하며, 각 분야별 전문 용어의 표준화된 번역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는 기업이 있다. 번역 전문 기업 '글나무'가 그 주인공이다.

글나무 문선희 대표는 “언어는 역사성을 가지고 끊임없이 진화한다. 아무리 친숙했던 단어라고 해도 어느 순간 다른 언어의 밑거름이 되어 새로운 열매를 자라나게 만든다. 최근에는 흔히 ‘신조어’라 부르는 새로운 언어들도 빠르게 태어나고 있다”며 언어의 변화에 대해 강조했다.

NSP통신-문선희 대표 (글나무 제공)
문선희 대표 (글나무 제공)

그렇다 보니 새로 생겨난 어휘를 제대로 ‘번역’하는 일이 사회적 과제로 떠오르는 추세다. 용어 DB, 번역 가이드라인, 번역 프로세스, 표준화된 데이터로 학습된 AI 기술 등을 통해 ‘번역의 표준화’를 선도할 수 있는 전문가도 주목받고 있다.

G03-8236672469

문 대표는 “언어에 대한 오랜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번역 경력과 노하우를 축적한 전문가만이 해당 분야를 이끌 수 있다”면서 “전문성을 갖춘 번역회사의 기준을 제시하며 번역의 표준화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글나무는 언어별 전문 인력이 다년간 연구한 기록을 바탕으로 문화재청, 국립국어원, 한국관광공사 등 공공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다수의 공식 번역 가이드라인을 제작한 바 있다. 그 중에서도 ‘음식명 다국어 전문 번역’은 글나무가 진행한 주요 사업 중 하나로 꼽힌다.

문 대표는 음식명 번역을 번역 업무 중에서도 특히 어려운 분야로 꼽았다. 음식 혹은 음식점의 특이점을 살리기 위해 명명한 메뉴명의 경우 표준화된 번역이 무엇인지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는 “글나무는 음식명 번역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표준화된 표기법과 다국어 번역 기준을 제시하여 ‘한식 외국어 번역표기 편람’ 제작에 참여했다”며 “이 편람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정한 공공 용어 표기 기준을 명확히 이해하며 음식명 번역에 반영한다”고 말했다.

글나무는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추진하는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의 하나인 ‘관광 음식 메뉴판 데이터 구축’과제도 주관하고 있다.

실제 음식점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메뉴판을 데이터로 활용하기 위해 책자형, 액자형, 테이블형 등의 메뉴판 이미지를 약 10만건 이상 수집하고 OCR 기술을 적용, 텍스트로 변환한 뒤 고유 지식 정보의 라벨링 작업 등을 통해 인공지능 번역기 학습을 위한 데이터를 구축하고 있다.

최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한식뿐 아니라 양식·일식·중식·분식 디저트류 등 업종과 음식 종류에 상관없이 메뉴명을 수집 중이며, 최종적으로 50만건 이상의 음식 메뉴 정보와 200만건 이상의 다국어 번역 데이터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문 대표는 ‘2021 한식 외국어 번역 표기 편람’ 제작 시 언어별 재료명 표기법과 다양한 재료 및 조리 방법을 활용한 메뉴명의 번역 표기법 등을 연구하며 대량의 음식 메뉴 정보 수집과 외국어 번역 표준화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껴 이번 사업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음식을 체험하고자 하는 외국인이 많아지고 있지만, 데이터가 제한적이어서 원하는 음식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번역기를 사용하면 당황스러운 경험을 하기도 한다”며 “기존의 전통 음식뿐 아니라 최근 유행하는 음식까지 표준화된 외국어 번역 데이터를 구축해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갖는 외국인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광 산업의 적극적인 발전을 지원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문 대표는 현재 진행 중인 ‘관광 음식 메뉴판 데이터 구축’ 사업과 ‘외신 모니터링 번역 서비스’에 집중하면서 ‘관광 안내 표기 용례집’ 구축에도 도전할 계획이다. 2012년 외국어 관광 안내표기 용례집 제작에도 참여한 바 있지만, 오랜 시간이 흐른 만큼 바뀐 게 많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그는 “관광 분야도 음식과 마찬가지로 틀린 부분이 너무 많다. 제주도 같은 관광 도시는 그나마 낫지만, 다른 중소 도시는 비용 등의 문제로 잘못된 걸 알면서도 수정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2022년 버전을 새롭게 내놓고 싶다”며 “글나무가 대한민국 번역 분야에서 부끄럽지 않도록 분명한 역할을 하겠다”고 다짐했다.

NSP통신 박유니 기자 ynpark@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