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그래프속이야기

민간소비가 이끈 경제성장…학계 “내수로만 버티긴 부담”

NSP통신, 강수인 기자, 2023-06-02 11:27 KRX2
#경제성장률 #GDP #국내총생산 #민간소비 #금리동결
NSP통신- (그래프 = 한국은행)
(그래프 = 한국은행)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올 1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0.3% 성장했지만 이보다 내수기여도가 더 높았다. 즉 민간소비와 정부소비가 아니었다면 우리 경제는 역성장을 기록했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에 수출, 투자가 아니라 내수가 경제를 떠받치고 있어 내수가 버텨주지 못하면 올 하반기 경제가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1분기 국민소득(잠정)’ 보고서 중 ‘GDP(국내총생산)에 대한 성장기여도(계절조정계열)’ 그래프를 보면 민간소비가 지난해 4분기보다 올 1분기 늘었지만 설비투자, 순수출은 크게 감소하거나 마이너스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올 1분기 실질 GDP은 전기 대비 0.3% 성장한 가운데 1분기 성장률에 대한 내수의 기여도는 0.4%p로 나타났다. 민간소비는 0.3%p, 정부소비가 0.1%p 기여했다. 반면 순수출기여도는 -0.2%다. 성장률보다 내수 기여도가 높다. 경제성장을 이끈 것이 민간소비, 정부소비 등 내수 소비였다고 해석된다.

G03-8236672469

이에 대해 정화영 자본금융연구원 거시금융실 연구위원은 “민간소비가 증가하지 않았더라면 성장이 없을 것, 즉 지난해 4분기 수준 정도에 머물렀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부진하다보니 해외 부문에서 그렇게 경제성장에 도움이 될 만한 요인이 많지 않아 내수 쪽에서 현재 성장을 받쳐주고 있다”며 “수출이 빨리 회복돼야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될 테지만 주요국의 통화정책, 물가상승률이 불확실하고 반도체 경기 역시 부진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알 수 없다는 것 등 워낙 불확실한 것이 많다”고 말했다.

최근 필립 제퍼슨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 패트릭 하커 펠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 등 연준 인사들이 오는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동결 가능성을 거듭 언급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역시 지난달 19일 금리 동결을 시사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긴축 종료 가능성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 역시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물가가 목표수준인 2%로 수렴한다는 증거가 있기 전까지 인하 시기를 언급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긴축 장기화를 예고하기도 했다. 추가 인상 가능성도 열어둔 상태다. 이 총재는 물가상승률에 대해선 “연말 이후 목표인 2%로 내려갈지는 오히려 확신이 줄었다”고 말했다.

정 연구위원은 “어느 정도 금리 인상 사이클이 마무리돼간다고는 하지만 미 연준에서 금리를 인상할지 동결할지 불확실한 면이 있고 반도체도 재고가 많고 가격문제도 개선되지 않은 상황에서 언제까지 이 상태가 지속될지 불확실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만약 이 상태가 빠르게 개선돼 수출이 좋아진다면 우리 경제도 빠르게 반등할 수 있겠지만 이 상태가 장기화된다면 내수가 오랫동안 버텨줘야 한다”며 “그러기엔 금리가 많이 오른 상태에서 우리나라 가계부채 비율이 다른나라에 비해 높은 편이라 대외적으로 도움이 되는 요인 없이 내수로만 버티기엔 부담이 있다”고 말했다.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Global Debt)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으로 세계 34개 나라(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의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이 102.2%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이 100%를 넘긴 국가는 한국 뿐이다. 가계부채 규모는 지난해 1800조원을 넘기기도 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