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NSP통신) 김대원 기자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 이하 NIA)은 5일 NIA 서울사무소에서 ‘AI 허브 데이터 활용 우수기관’ 시상식을 개최하고 분야별 우수사례 4개를 선정했다.
NIA는 AI 허브 데이터 활용 우수사례를 발굴해 다양한 분야에서 AI 데이터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2017년~2023년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現 초거대AI 확산 생태계 조성사업)에 참여한 전체 수행기관을 대상으로 ‘AI 허브 데이터 활용 우수기관’ 선정을 위한 사례를 공모했으며 제출된 사례 중 전문가 심사를 통해 우수사례를 선정했다.
이번 시상은 총 4개 분야에서 각 1개의 사례를 선정했으며 △사업화·기술개발 분야에서는 ‘가치랩스’ △연구·지식 분야에서는 ‘뉴로이어즈’ △사회·공공 분야에서는 ‘인사이터·고양시’ △글로벌 분야에서는 ‘모핑아이’가 우수기관으로 수상했다.
‘가치랩스’는 ‘지식그래프 기반 화학물질 유해성 예측 서비스’ 개발로 안정적인 매출 실적 및 유관 사업 수주 성과로 기술의 성장성이 돋보이는 점이 수상에 크게 기여했다.
‘뉴로이어즈’는 ‘AI 기반의 어지럼 진단 기술 개발’로 기존 모델 대비 성능 개선이 높고 SCI급 논문을 포함해 국내외 논문 발표 및 국외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 성과가 높게 평가됐다.
‘인사이터·고양시’는 아동의 그림을 통해 아동의 심리를 검사하고 모바일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아맘때 서비스’를 개발, 이를 고양시 등 여러 지자체에서 1500명 이상의 아동에게 지원하며 공공 분야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모핑아이’는 AI 기반 수도관 로봇 개발을 통해 인포뱅크 투자 유치(400억 규모) 및 해외 투자 계약(485억 규모)을 완료했으며 독일 IFA 대회 1위, 싱가포르 수출 계약 등 적극적인 글로벌 진출 성과를 인정받으며 수상했다.
NIA는 이번 시상을 계기로 앞으로는 AI 허브 이용자 등 공모 범위를 확대해 AI 허브 데이터 활용 우수사례를 지속해서 발굴할 예정이다.
또한 발굴된 성과 사례를 적극적으로 홍보해 AI 서비스 및 연구 개발을 원하는 기업들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성공 모델을 제시할 방침이다.
NIA 황종성 원장은 “AI 허브 데이터를 통해 국내 AI 관련 기업들이 글로벌 진출까지 확장되는 밑거름이 된 것 같아 매우 뜻깊다”며 “앞으로도 국내 기업이 글로벌 AI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공공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