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순천 환선정 현판 2점,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NSP통신, 남정민 기자, 2025-03-07 17:12 KRX7
#순천시 #환선정 현판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이순신 장군

이순신 장군이 화살을 쐈던 순천 환선정 ‘현판’ 문화유산 지정

NSP통신-순천 환선정 현판 1886년 현판(이범진) (사진 = 순천시)
순천 환선정 현판 1886년 현판(이범진) (사진 = 순천시)

(전남=NSP통신) 남정민 기자 = 전남 순천시(시장 노관규)는 조선시대 순천의 도시 상징 건축물 ‘순천 환선정 현판’이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고 7일 밝혔다.

순천 환선정 현판은 1543년 순천부사 심통원이 동천 인근에서 활쏘기를 연습하는 사정(射亭)과 휴식, 정무 공간으로 지은 환선정에 걸린 현판 2점이다.

이번에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것은 1613년 배대유 선생이 쓴 현판(130*55cm)과 1886년 순천부사 이범진이 쓴 현판(340*120cm)이다.

G03-8236672469

배대유 현판은 ‘환선정(喚仙亭)’ 세 글자를 초서ㆍ행서ㆍ해서의 세 가지 서체로 썼는데 편액 글씨를 각기 다른 서체를 사용한 것은 매우 드문 일로 서예사적으로도 주목할 만하다는 평가이다.

이범진 현판은 그 규모가 일반 현판의 3배 크기로 압도적이고 초서로 쓴 글씨는 필획의 부드러움과 큰 글자가 주는 웅장함 등에서 이범진의 창의적 예술성을 보여준다는 평가다.

특히 이범진은 대한제국 초대 러시아 공사로 아들 이위종 지사와 함께 1907년 헤이그 특사 활동을 지원하였고 국치를 당하자 순절한 애국지사이다.

노관규 시장은 “이번에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순천 환선정 현판은 서체가 웅건하고 활달하며 크기가 대형이라 서예사적ㆍ역사적ㆍ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며 “앞으로 이를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환선정은 순천 남문 연자루와 함께 조선시대 순천의 2대 상징 건축물로 ‘난중일기’에는 이순신 장군이 환선정에서 활쏘기를 수련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3-8236672469
[NSPAD]삼성전자
[NSP7컷]인터넷은행의 혁신적인 배신
[NSPAD]장흥군
[NSPAD]해남군
[NSPAD]나주시
[NSPAD]곡성군
[NSPAD]장성군
[NSPAD]전라남도동부지역본부
[NSPAD]여수시
[NSPAD]디엘케미칼
[NSPAD]영암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