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위메이드(112040)가 18일 개최한 ‘프로젝트 스테이블 원(PROJECT STABLE ONE)’ 행사를 통해 원화 스테이블 코인 사업 진출을 공식화하고, 전용 블록체인 메인넷 ‘스테이블 원(STABLE ONE)’을 공개했다.
위메이드는 행사에서 원화 스테이블 코인의 대표주자로서 ‘K-금융의 세계화’에 앞장서겠다는 비전을 선언했다.
회사는 ▲원화 스테이블 코인 대중화를 통한 불편함과 불안함의 해결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전용 고성능 블록체인 개발 ▲투명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인프라 제공을 핵심 메시지로 제시하며 청사진을 제시했다.
김석환 위메이드 부사장은 “K-컬처가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성공했듯, 원화가 스테이블 코인이라는 혁신적 플랫폼을 만나 새로운 금융 한류를 창조할 수 있다”며 이를 위한 2가지 제언을 내놓았다.
여기에 공공성과 안정성 확보를 위해 ▲스테이블 코인 뱅크 설립 ▲공공성을 기반으로 한 가상자산 예탁원 설립을 제시했다.
“충전식 간편결제 외에도 수출업, 보험급 납부, 부동산 대출 시장, 주식시장 결제 대금, 정부 보조금 등 더 넓은 금융의 시각으로 전환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스테이블 코인이 가져올 4대 금융 혁신으로 ▲거래 추적을 통한 투명성 확보 ▲정부 지원금·세금 징수 등 행정 효율성 제고 ▲소상공인을 포함한 금융 포용성 향상 ▲저렴하고 빠른 실시간 국제 송금 등 결제·정산 혁신을 꼽았다.
위메이드는 7년간 블록체인 사업을 통해 축적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차세대 인프라 ‘스테이블 원’을 소개했다. 안용운 위메이드 CTO는 “스테이블 원은 글로벌 호환성과 고성능 데이터 처리를 보장하면서 규제 및 보안 요건을 준수하는 블록체인”이라고 설명했다.
스테이블 원은 이더리움과 100% 호환돼 기존 서비스의 수정 없이 적용 가능하며, 초당 3000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처리해 국내 간편결제 거래량을 소화할 수 있다. 또 거래 수수료를 발행 예정인 스테이블 코인으로 직접 지불하는 ‘네이티브 수수료’ 방식을 도입해 편의성을 높였으며, 법인 사업자를 위한 전용 처리 공간과 금융 전산망 최적화 API도 제공한다.
위메이드는 행사에서 가칭 ‘KRC1’ 스테이블 코인의 발행·브릿지·소각·전송 과정을 시연하고, 가상 결제 가맹점에서 결제하는 모습을 공개하며 실용성을 입증했다.
현재 스테이블 원 체인은 내부 테스트 단계에 있으며, 10월 중 소스코드를 오픈소스로 공개한다. 이어 11월 테스트넷 공개를 거쳐 안정성을 검증한 후 내년 1분기 정식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김석환 위메이드 부사장은 “K-컬처에 이은 K-금융의 세계화를 지금 위메이드가 시작하고자 한다”며 “다양한 국내외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원화 스테이블 코인을 추진하고 싶다”라고 밝혔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