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리그 오브 레전드(LoL) e스포츠의 최강자를 가리는 ‘2025 LoL 월드 챔피언십’(이하 월드 챔피언십)이 오는 14일 중국 베이징 스마트 이스포츠 센터에서 막을 올린다.
개막전은 ‘전설의 라이벌’ T1과 인빅터스 게이밍(IG)의 플레이-인(Play-In) 매치로 진행된다.
두 팀은 모두 LoL 역사에 이름을 남긴 월드 챔피언이다. T1은 대회 5회 우승(2023·2024년 포함)으로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IG는 2018년 LPL 팀 최초로 정상에 오른 주인공이다. 이번 플레이-인은 5전 3선승제 단판 승부로, 승리팀만이 16강격인 스위스 스테이지에 합류한다.
올해 월드 챔피언십에는 전 세계 5개 지역에서 17개 팀이 출전하며, LCK와 LPL은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성적에 따라 한 팀씩 추가 출전권을 얻었다. 하지만 두 리그의 4번 시드인 T1과 IG는 플레이-인에서 탈락 시 즉시 대회를 마쳐야 한다.
역대 전적에서는 IG가 3승 1패로 우세(세트 기준)를 보이고 있다. 2018년 리프트 라이벌즈와 2019년 MSI·리프트 라이벌즈에서 맞붙은 양 팀은 팽팽한 승부를 벌였으며, 당시 주전이던 ‘페이커’ 이상혁(T1), ‘더샤이’ 강승록·‘루키’ 송의진(IG)이 이번에도 출전 명단에 이름을 올려 팬들의 기대를 모은다.
한편 T1은 월드 챔피언십 무대에서 LPL 팀을 상대로 5전 3선승제 10연승을 기록 중이다. 2023년과 2024년 대회에서도 LPL의 강호들을 연파하며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플레이-인 종료 후에는 스위스 스테이지 조 추첨식이 열린다. 올해는 새 방식이 적용돼, 플레이-인 승자 지역의 3번 시드가 2부로 승격된다.
1부는 각 지역 1번 시드, 2부는 2번 시드와 승자 지역의 3번 시드, 3부는 남은 팀들로 구성된다. 첫 라운드에서는 1부-3부, 2부-2부 간 대결이 이뤄지며 같은 지역 팀 간 대진은 피하는 규정이 적용된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