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봤더니

‘중간계’ AI 기술로 구현한 경계의 세계

NSP통신, 이복현 기자, 2025-10-14 13:26 KRX2 R0
#CJ CGV(079160) #AI기술 #중간계 #변요한 #크리처
NSP통신- (사진 = CJ CGV)
fullscreen
(사진 = CJ CGV)

(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영화 ‘중간계’(배급 CJ CGV)는 AI 기술을 본격적으로 활용한 첫 장편 영화다. 권한슬 AI 연출이 참여한 크리처 액션은 실사와 AI 합성의 가능성을 실험한 결과물로, 기술적인 완성도는 일정 수준 이상이다. 액션의 짜임새는 안정적이며, 첫 시도치고는 비교적 자연스럽게 구성돼 있다.

영화의 중심 배경인 ‘중간계’는 독창성과 현실감 사이에서 절충된 형태로 제시된다. 현실과 저승의 경계를 설정했지만, 시각적 구성은 완전히 새로운 공간이라기보다 현실의 연장선처럼 보인다. 그만큼 낯선 분위기는 덜하지만, 반대로 세계관의 독자성이 약하게 느껴지는 부분도 있다.

AI로 구현된 크리처들의 움직임은 사실적이지만, 액션 연출은 기존 영화의 문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NSP통신- (사진 = CJ CGV)
fullscreen
(사진 = CJ CGV)

다만 빛기둥과 함께 등장하는 12지신 저승사자들, 그리고 주인공 ‘장원’(변요한) 일행을 보호하는 사천왕의 등장은 시각적 밀도를 높이는 요소로 작용한다. 주요 인물들이 저승사자들과 추격전을 벌이는 전개는 기술적 구현 측면에서 흥미로운 시도로 평가할 만하다.

G03-8236672469

서사는 단순하지만 속도감 있게 진행된다. 장례식장에서 시작된 사건이 ‘중간계’로 이어지는 과정은 명료하며, 인물 간의 관계도 과도한 설명 없이 기능적으로 정리돼 있다. 중간중간 삽입된 유머는 전체 분위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전반적으로 ‘중간계’는 기술적 실험에 초점을 맞춘 작품으로 보인다. 이야기의 완성도나 세계관의 깊이보다는, AI가 영화 제작에 어떤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에 가깝다. 후속작이 제작된다면 이번 작품에서 제시된 기술적 접근이 서사적 확장으로 이어지길 기대해 본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