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중국이 규제와 보안 우려로 미뤄오던 스마트폰 eSIM 도입을 본격화하면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재편이 가속화되고 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eSIM 스마트폰은 2025년 전 세계 스마트폰 판매의 37%, 2026년에는 48%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가 2025년 10월 스마트폰 eSIM 전국 시범 도입을 승인하면서 3대 이동통신사가 eSIM 서비스를 시작했고, 이용자는 통신사 매장에서 실명 확인을 거쳐 eSIM을 개통해야 한다.
애플은 중국 최초 eSIM 전용 스마트폰 ‘아이폰 17 에어’를 출시하며 이 흐름을 선도했다.
중국 판매 모델은 해외 eSIM은 막혀 있지만, 별도 중국 전용 물리 SIM 모델 없이 글로벌 공통 모델을 쓸 수 있어 애플의 생산·공급망 단순화에 유리한 구조다.
화웨이는 ‘메이트 70 에어’로 자사 첫 eSIM 스마트폰을 내놨고, 오포·비보도 향후 신제품에 eSIM 탑재 계획을 밝히는 등 중국 주요 브랜드의 대응도 빨라지고 있다.
eSIM은 SIM 트레이가 필요 없어 확보된 공간을 배터리, 카메라 센서, 발열 제어 설계 등에 활용할 수 있어 더 슬림하고 내구성이 높은 단말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중국 브랜드가 강세인 인도·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도 듀얼 물리 SIM 중심 구조에서 eSIM 병행 지원 체제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eSIM은 아이폰, 갤럭시 S, 화웨이 메이트 등 프리미엄에 집중돼 있지만, 생태계와 통신사 지원 확대로 중가·보급형까지 확산되면 글로벌 스마트폰 산업 판도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