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Beyond Mobile’ 시대… IT OLED, 2029년까지 두 배 성장 전망

NSP통신, 이복현 기자, 2025-11-20 10:54 KRX7 R1
#유비리서치 #Beyond Mobile #IT용OLED #출하량 #IT용패널

유비리서치 “IT용 OLED 출하량 2025년 2400만대→2029년 5300만대”…삼성디스플레이 60% 점유 유지·8.6세대 투자 확산

NSP통신- (이미지 = 유비리서치)
fullscreen
(이미지 = 유비리서치)

(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유비리서치가 최근 발간한 ‘Beyond Mobile: IT OLED 기술과 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IT용 OLED 출하량이 2025년 2400만대에서 2029년 5300만대까지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태블릿PC·노트북·모니터용 OLED가 향후 4년간 구조적 성장 구간에 진입해 스마트폰 중심이었던 시장 구도가 바뀔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별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노트북·태블릿·모니터용 OLED 패널 시장에서 60% 이상의 점유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G03-8236672469

LG디스플레이(034220)를 비롯해 에버디스플레이, BOE, 비전옥스 등 후발 업체들은 투자 확대를 통해 격차 축소에 나서는 것으로 분석됐다.

IT용 OLED는 중대형 패널 비중이 높아 면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대형 기판 기반 8.6세대 OLED 라인 투자가 핵심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2023년 4월 약 4조원 규모의 8.6세대 OLED 라인 투자를 선언한 이후 BOE, 비전옥스, TCL CSOT, 톈마 등이 잇따라 투자에 나서며 경쟁이 확산됐다.

이는 OLED 수요가 스마트폰에서 노트북·태블릿·모니터로 확대되면서 IT용 패널이 새로운 성장축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보고서는 IT 제품이 교체주기가 길고 백색 화면 사용 비중이 높아 번인에 취약한 만큼 장수명·고휘도·고효율을 갖춘 2스택 탠덤 OLED 구조가 필수로 평가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삼성디스플레이, BOE, 비전옥스 등 주요 패널업체들이 2스택 탠덤 OLED 양산을 위한 라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했다.

고객사 전략 측면에서 삼성디스플레이가 Apple을 핵심 고객으로 확보해 ‘MacBook Pro’용 OLED 패널 공급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는 반면, 중국 패널업체들은 중국 및 글로벌 노트북·태블릿 브랜드 공략에 우선 집중하는 모습이다.

유비리서치 한창욱 부사장은 “중국 OLED 패널업체들이 삼성디스플레이를 추격하기 위해 앞다투어 8.6G OLED 투자에 나선 가운데 삼성디스플레이가 기술 격차를 기반으로 애플 외 IT 고객사를 얼마나 확보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