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수원시, 아이들이 놀 수 있는 ‘아동친화도시’ 앞장

NSP통신, 조현철 기자, 2016-11-30 11:03 KRD7
#수원시 #수원 #아이들 #아동친화도시 #미취학아동

수원시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설문조사

NSP통신-설문조사 일부 발췌내용. (수원시청 제공)
설문조사 일부 발췌내용. (수원시청 제공)

(경기=NSP통신) 조현철 기자 = 수원시에 사는 초·중·고등학생과 학부모, 미취학 아동 부모 대부분은 지역내에 아이들이 운동하고 놀 수 있는 장소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사전 실태 조사’를 한 결과 초등학생의 98.2%, 중학생의 96%, 고등학생의 91.2%가 지역 내에 운동하고 놀 수 있는 장소가 있다고 대답했다. 청소년(중·고등학생)·어린이(초등학생) 부모의 97%, 미취학 아동 부모의 93.7%도 ‘있다’고 답했다.

지난 9월20일부터 한 달여 동안 진행된 설문에는 수원시 초등학생 300명, 중·고등학생 600명, 미취학 자녀 학부모 300명, 초등학생 부모 100명, 중·고등학생 부모 100명, 아동 관계자(초·중·고·유치원·어린이집 교사) 100명 등 1500명이 참여했다.

G03-8236672469

시는 30일 시청에서 아동친화도시추진위원회 회의를 열고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놀이와 여가 ▲참여와 시민권 ▲안전과 보호 ▲보건과 사회서비스 ▲교육 환경 ▲가정환경 ▲나의 사생활 등 7개 분야에서 이뤄졌다.

아동 관계자의 94%, 미취학 아동부모의 90.7%는 “아동이 집 밖에 안전하게 놀 수 있는 장소가 있다”고 답했고 초등학생의 88.6%, 중학생의 84.1%, 고등학생의 82.8%는 “동네는 아동이 걷거나 자전거를 타고 다니기에 안전한 환경”이라고 답했다.

장애 아동을 위한 환경 조성은 다소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 ‘지역 내 놀이터는 장애를 가진 어린이들도 이용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청소년 부모의 47%, 어린이 부모 51%, 미취학 아동 부모의 42.3%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초등학생의 67.7%, 중학생의 67.3%, 고등학생의 56.1%가 “그렇다”고 답해 어른들과 차이를 보였다.

‘아동은 폭력으로부터 안전하다고 느낀다’고 답한 비율은 아동 관계자 77%, 청소년 부모 72%, 어린이 부모 85%, 미취학 아동 부모 80%였다. ‘부모들이 자녀의 건강과 발달에 대해 조언을 들을 수 있는 기관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아동 관계자의 95%가 “그렇다”고 답했지만 청소년 부모는 69%, 어린이 부모 76%, 미취학 아동 부모의 85%만이 “그렇다”고 해 시각차를 보였다.

회의에 참석한 김동근 수원시 제1 부시장은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해 효율적 운영, 발전 방향에 대해 함께 고민해 달라”며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빠른 시일 내에 받을 수 있도록 지원과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수원시의 아동(고등학생 이하) 인구는 지난 2000년 28만8777명에서 2010년 26만 5351명, 2015년 24만7845명으로 감소하고 있다. 전체 인구에서 아동이 차지하는 비율도 2000년 31.1%, 2010년 24.7%, 2015년 21.2%로 낮아지고 있다. 아동 인구 감소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NSP통신/NSP TV 조현철 기자, hc1004jo@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