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정현주 여수시의원, 스마트포용도시 정책 방향 제안

NSP통신, 서순곤 기자, 2025-04-08 16:21 KRX2
#여수시의회 #정현주 의원 #스마트시티 #스마트포용도시 #수요응답형 교통제도

교통 취약계층 대상으로 스마트 모빌리티 도입 제안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 플랫폼 구축 제안

NSP통신-여수시의회 정현주 의원 (사진 = 여수시의회)
여수시의회 정현주 의원 (사진 = 여수시의회)

(전남=NSP통신) 서순곤 기자 = 여수시의회 정현주 의원이 제245회 여수시의회 임시회에서 ‘스마트포용도시’ 정책 방향을 제안했다.

정 의원은 “스마트시티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기술을 활용한 혁신을 통해 도시 전반의 효율성 및 생활 편의성 향상을 제고하는 도시를 의미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최근에는 기존 스마트시티 정책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혁신의 혜택이 특정 계층에만 국한되지 않고 사회적 약자와 소외계층을 포함한 모든 시민에게 고르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는 이른바 “스마트포용도시”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G03-8236672469

이에 2023년 제정한 ‘스마트도시 조성 및 관리·운영 조례’를 근거로 우리 여수가 직면하고 있는 현안 해결 측면에서 스마트포용도시 정책을 지역 특성에 맞게 확대 적용할 것을 제안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상황에서 고령자·섬 지역주민·장애인 등 교통 취약계층의 이동권 보장과 복지 사각지대 해소는 긴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우선 교통편이 부족한 섬 지역이나 외곽 지역에는 수요응답형 교통제도를 운영해 시민이 앱 또는 전화를 통해 필요한 시간·장소를 예약하면 소형 셔틀이 유연하게 배차·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

장애인·고령자에게는 휠체어 리프트가 장착된 택시나 전용 차량을 확대하고 스마트 앱을 통한 간편 예약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나아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면 세밀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및 효율적인 예산 운영 또한 가능하다며 교통 취약계층 대상 스마트 모빌리티 도입을 제안했다.

또한 스마트 관광을 표방하며 관광앱 ‘여수엔’을 개발·출시하였으나 거의 음식점과 숙소 사전 예약 시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기능에 집중되어 있어 사용자 친화성, 콘텐츠 신뢰도, 기술 활용도 면에서 여러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반면 문화유산 중심의 관광도시 특성을 살린 ‘경주 스마트 관광앱’은 GPS 기반 도보 안내와 AI 음성해설, 실시간 문화행사 정보 연동 등을 통해 관광객 민원을 30% 이상 줄였고 ‘순천만국가정원 전용 관광앱’은 360° 사진, 항공사진과 연계한 이야기 형식의 AR 해설을 제공, 방문객 중 40% 이상이 앱을 이용하게 함으로써 관광객의 평균 체류 시간을 효과적으로 늘리는 결과를 이끌어냈다.

이러한 기술 도입 사례를 참고해 시각장애인을 위한 스크린리더 최적화 및 음성 안내 내비게이션 기능,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어 영상 삽입, 지체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접근 가능 경로 지도 등을 앱 내에 통합 제공하고 나아가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50대 이상 고령자가 음성으로 조작할 수 있는 시스템도 추가한다면 ‘여수엔’은 단순한 관광 정보 앱을 넘어 여수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스마트 포용 관광 선도도시로 이끄는 ‘핵심 플랫폼’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여수시가 2022년 ‘스마트 버스정류장’, 2024년 ‘산책로 범죄예방시스템’ 등 스마트 정책 도입을 통해 시민들의 호평을 받았던 경험을 바탕으로 공모사업만 기다릴 것이 아니라 시민 제안 창구를 운영해 실질적인 수요를 반영하고 필요시 실험적으로라도 정책을 추진하는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며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 플랫폼 구축을 제안했다.

정현주 의원은 ”이러한 스마트 포용도시로의 사례를 하나씩 발굴하고 축적해 나간다면 10년 후에는 여수가 시민에게는 편리하고 관광객에게 차별화된 즐거움을 제공하며 나아가 지역경제와 복지가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로 변모해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3-8236672469
[NSPAD]삼성전자
[NSP7컷]인터넷은행의 혁신적인 배신
[NSPAD]전남드래곤즈
[NSPAD]장흥군
[NSPAD]나주시
[NSPAD]곡성군
[NSPAD]장성군
[NSPAD]전라남도동부지역본부
[NSPAD]영암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