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DIP통신] 고창기 기자 = KS학생용책걸상협의회는 KS 인증을 받은 중소기업들이 조직을 구성, 조달청과 3자 단가계약을 체결해 국내 초·중·고교에 학생용 책·걸상을 생산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학기술부의 조달청 구매시스템 변경으로 도산의 위기에 처하는 등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학생용 책·걸상의 수요는 신학기의 학급증설과 신설학교 개교로 연간 총생산량의 70%가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집중적으로 발생하지만 올해 책걸상 업체의 생산라인은 멈춰서 있다.
교과부가 교육 비리 척결 명분하에 2단계 경쟁에 해당하는 기준예산 1억원을 2000만 원으로 대폭 하향 조정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계약금액 2000만원 초과시 입찰경쟁으로 20%까지 가격할인을 해야 하는 출혈경쟁에 중소기업들은 도산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전국 학교의 책걸상 구매방식은 조달청을 통해 이뤄지는 관계로 부정과 부조리가 있을 수 없고 책걸상 업체도 투명한 선정과정에 어떠한 이의제기도 한 적이 없다고 한다. 그런데 몇몇 납품비리로 학교에 납품되는 모든 물품들이 비리로 얼룩진 것으로 치부, 교과부에서는 조달청의 구매시스템을 송두리째 변경해 그 피해를 선의의 경쟁업체에서 입게 된 것이다.
KS학생용책걸상협의회는 경제난으로 매출이 감소할 때도 ‘우리의 아이들이 사용하는 제품을 만든다’는 신념으로 버텨왔다. 그런데 조달물품 가운데 교과부 산하조직 중 다른 조직은 모두 제외하고 유독 초·중·고등학교에 납품하는 물품만 제한받게 될 교과부의 정책으로 학교 관계자와 업체의 모독이므로 책걸상 사업을 지속해야할지 딜레마에 빠져있다.
2011년 신학기를 맞아 개교하는 학교가 많지만 책·걸상 없이 개교가 가능한지 걱정스럽지 않을 수 없다. 이와 함께 이들 책·걸상은 모두 중소기업체에서 공급하고 있는데 도산하고 없어진 업체의 제품은 A/S도 되지 않아 학교의 피해가 속출할 전망이다.
이처럼 KS학생용책걸상협의회는 교과부의 부조리 척결 정책이 20%까지 할인하고 납품해야 하는 책걸상 업체로서는 도산으로 이어지고 A/S를 받지 못하는 피해 학교가 현실로 다가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는 속담이 현실로 다가와 걱정된다는 것. 책·걸상 업체들은 2,000만원 이상 2단계 경쟁 입찰 시책을 취소하는 방법이외는 뾰족한 대책이 없다고 강조한다.
kchkii@dipts.com
<저작권자ⓒ 소비자가 보는 경제뉴스 DI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