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 “AI 챗봇 서비스, 반도체 수요의 킬러 애플리케이션 될 것”

NSP통신, 이복현 기자, 2023-02-15 16:53 KRD7
#SK하이닉스(000660) #박정호부회장 #AI챗봇 #반도체수요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개발 HBM, AI시대 기술 진화 중추 역할…기업·소부장·학계 역량 통합 위한 ‘트리니티 팹’ 구축 계획

NSP통신-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이 15일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림대 도헌학술원 개원 기념 학술심포지엄에서 ‘AI 시대, 한국 반도체가 나아갈 길’을 주제로 기조 연설을 진행했다.

박 부회장은 “AI 시대에 일어날 기술 혁신의 중심에는 항상 메모리 반도체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선 박 부회장은 “이제 AI 시대가 펼쳐지면서 과거에 못 푼 난제가 해결되고, 자율주행차, 로봇, 바이오 등의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가 탄생해 우리의 삶은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변화할 것”이라며 “그 변화의 중심에서 보이지 않는 혁신을 만들어 온 것은 메모리 반도체”라고 말했다.

G03-8236672469

대표적인 사례로 메모리반도체가 기술 발전에 기여한 것이 아이폰(iPhone)이라고 소개했다. 아이폰의 모태인 ‘아이팟(iPod)’이 처음 출시될 당시 저장 장치로는 하드디스크(HDD)가 사용됐으나 메모리 기술이 발전하면서 낸드 메모리가 HDD를 대체하며 스마트폰 혁신으로 이어졌다는 것.

특히 “지금 AI 시대가 본격화하고 있는데, 최근 화제의 중심인 대화형 인공지능 챗GPT를 시작으로 많은 빅테크 기업이 AI 챗봇(Chatbot) 서비스에 뛰어들고 있다”며 “앞으로 이 분야가 반도체 수요의 새로운 ‘킬러 애플리케이션(Killer Application)’이 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챗GPT 등 AI 시대가 펼쳐지고 관련 기술이 진화하면서 글로벌 데이터 생성, 저장, 처리량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최고속 D램인 HBM은 AI 시대 기술 진화에 한몫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세계 최초로 HBM3를 양산해 엔비디아에 납품하는 등 최고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HBM2E와 HBM3 분야에서 SK하이닉스는 시장 점유율 초격차 1위로 이 업계를 주도하고 있다.

그러면서 박 부회장은 ‘메모리 산업의 가치와 한국 반도체 경쟁력 유지를 위한 제언’을 했다.

박 부회장은 “반도체는 20년 이상 한국의 수출 1, 2위 품목이며, 산업 종사자도 31만 명으로 추산된다”며 “한국의 글로벌 메모리 시장점유율은 62%로 압도적인 1위로 그런 만큼 국가 차원에서 강화해야 하는 핵심 산업”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국이 반도체 강국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서는 ▲우수 인재 육성, ▲정부의 반도체 생태계 강화 노력 ▲미래 기술 준비가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인재 확보가 가장 시급한데, 현재 예상으로는 2031년 학/석/박사 기준으로 총 5만4000명 수준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전국 지역 거점 대학에 반도체 특성화 성격을 부여하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박 부회장은 “대기업, 소부장, 학계가 함께 반도체 생태계를 활성화할 플랫폼으로 미니 팹(Mini FAB) 구축”을 제안하기도 했다.

전세계 반도체 강국들은 연구와 테스트를 위한 300mm 기반 미니 팹을 보유해 반도체 기술을 경쟁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국내는 200mm 기반 미니 팹만 보유하고 있는데 SK하이닉스는 2027년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내에 미니 팹 성격의 300mm 기반 ‘트리니티 팹(Trinity FAB)’을 계획하고 있다.

이외 박 부회장은 “전세계 서버용 D램이 DDR4에서 DDR5로 전환되면 2022년부터 2030년까지 누적 29.2TWh(테라와트시)의 전력을 감축할 수 있다”며 “한국 반도체가 고효율·고성능 제품 개발로 지구와 인류에 기여하고, 이러한 리더십이 다시 업계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모색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NSP통신 이복현 기자 bhlee2016@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