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임창섭 기자 = 대외 불안요인의 확대에도 불구 한국 주식시장은 여타 신흥국들에 비해 비교적 양호한 수준임.
한국 증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엔화 약세와 중국 경기 둔화 등을 꼽을 수 있음.
엔高 당시(달러당 76엔) 한국이 수혜를 받았던 때와는 대조적으로 지금의 엔低(달러당 98~100엔)는 한국 수출기업들에게 큰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음.
최근 중국 경기 둔화와 관련, 그 원인이 소비자 중심의 경제 전환을 꾀하는 새로운 정권의 통제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정부의 통제를 벗어난 실질적인 경제 성장 둔화에 기인한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음.
어느 쪽이든 향후 중국 경제는 6~7%대의 성장률을 나타낼 가능성이 크며 이는 곧 한국 제품에 대한 수요도 둔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음.
美 Fed의 양적완화 축소도 최근 한국 증시의 저조한 실적에 영향을 미친 요인임.
이는 美 경제 성장에 대한 자신감의 회복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같은 현상은 금리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한국을 포함한 신흥국들로부터의 자금 이탈이 이어지면서 달러 베이스 투자로의 자금 유입을 이끌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증시는 여타 신흥국들에 비해 비교적 양호한 수준으로 한국은 글로벌 경제에서 플라이휠(flywheel)과 같은 기능을 해야 하며 더불어 정부는 책임감 있게 재정 통화 정책을 유지해 나가야 할 것.
<플라이휠 : 짐 콜린스는 그의 저서 ‘Good to Great(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에서 자동차의 플라이휠(기계나 엔진의 회전 속도에 안정감을 주기 위한 무거운 바퀴로 처음에는 돌리기 어려우나 일단 가속이 되면 손쉽게 돌아가는 바퀴)을 예로 들며 위대한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이 플라이휠이 손을 떼어도 스스로 돌 수 있을 때까지 꾸준히 돌려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음>
최근 애플과 삼성 제품에 대한 미국 내 수입 여부 논쟁과 관련 일반적으로 정부의 개입이 있을 경우 상황이 더욱 악화시킬 수 있어.
개성공단에 대해서는 비록 큰 영향력을 미치지는 않겠으나 문제시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으로 북한과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모색하는 조치를 취해야 할 것.
[ 원문 ]
“I think there are two main issues as to the relative underperformance of Korean equities: 1) clearly there has been extraordinary weakness of the Yen, compared to when it appreciated versus the $ to 76 and Korea benefited, whereas now with it weakening to 98-100 there is big pressure on Korean exporters, 2) the softness in China: I’ve argued that there are better ways to invest in China than Chinese stocks, most obviously Korea stocks where you’ve got real companies to invest in.
The question is whether the Chinese economy is slowing because the new leadership means what they say about shifting the economy more toward the consumer and so there is a sharp slowing OR if there is a real slowdown beyond their control.
Either way growth is likely to be 6-7% rather than 8-10% which represents a real slowdown in demand for Korean products.
“If the US Fed tapering off is causing the relatively poor performance of Korean equities that would reflect growing confidence at the Fed in growth picking up, then interest rates would perk up which should support the $ and attract funds into $ based investments, shifting away from EM’s including Korea.
But Korean equities have been doing relatively well compared to other EM equities. Korea is like a flywheel on the global economy.
Policymakers should generally not respond to these fluctuations, but rather keep up responsible fiscal and monetary policy. . . I haven’t read too much about the US Trade Representative’s decision regarding Apple and Samsung.
My understanding is that it affects historical stuff mostly.
I generally believe it is bad when governments interfere. . . Kaesong does matter, even though it is small. Any steps that can be made are worth exploring, anything to open up communications to a greater likelihood of progress.”
<정리 = 국제금융센터 남경옥 연구원
임창섭 NSP통신 기자, news1@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