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설희 기자 = NH투자증권이 오는 6월 조기대선을 앞두고 각 후보의 부동산 공약과 핵심변수들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공급 확대, 정비사업, 금리 인하 전망 등이 주요 변수로 떠오른 가운데 수도권과 지방의 회복 흐름에도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진단됐다.
NH투자증권이 발간한 보고서 ‘부동산 공약 분석 및 대선 이후 전망 새 시대, 익숙한 불안’에 따르면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정책을 분석한 결과 세 후보 모두 주택 공급 확대와 정비사업 활성화를 핵심 과제로 삼았다는 분석이다. 또 청년·신혼부부 등 실수요자 중심 정책을 강조했다. 다만 이재명 후보는 공공 중심 도심 개발 및 균형발전, 김문수 후보는 규제 철폐와 지방 권한 강화, 이준석 후보는 민간 중심 공급과 실용적인 제도 개선에 중점을 둔 것을 차이점으로 꼽았다.
또 이전 정권의 부동산 정책과 시장 흐름에 대한 설명과 현재의 부동산 현상 분석내용도 담겼다. 부동산 시장이 정책 기조만으로 설명되지 않고 대내외 경제 여건, 금리 등 시장 구조적 특성을 함께 봐야한다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IMF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팬데믹과 같이 금리, 수급, 경기 사이클 등 거시적 변수는 정책만큼 시장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흐름 속 중장기적으로 서울과 수도권은 정비사업 가시화 지역 중심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지방은 광역시 및 산업기반 지역을 중심으로 점진적 회복을 나타낼 것으로 보고 구조적으로는 1주택 중심 고가 자산 집중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향후 시장의 핵심 변수로는 △강남·용산 등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 지속 여부(오는 9월 30일 지정 연장 여부), △연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2~3차례 인하 전망), △공급 확대 공약의 현실화까지 필요한 시간과 정비사업 기대수요 △지방 부동산 시장의 선택적 회복 기대 등을 제시했다. 특히 지방의 경우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 구조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미분양 해소와 건설경기 회복 기조가 일부 회복 흐름을 이끌 수 있다는 전망이다.
정보현 NH투자증권 Tax센터 부동산 연구위원은 “이번 대선에서는 후보 간 부동산 공약의 방향성이 비슷한 만큼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통상 환경, 금리 인하 시점, 강남·용산 등 주요 규제지역의 해제 여부 그리고 수급 여건이 시장 흐름을 좌우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정유나 NH투자증권 부동산 책임연구원은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보다 지금은 불확실성에 대한 막연한 우려보다는 자산 포트폴리오를 점검하고, 실수요자와 투자자 각각의 전략을 재정립할 시기”라고 설명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