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NSP통신) 김종식 기자 = 이변은 없었다. 경륜 최강자 임채빈(25기, SS, 수성)이 또 한 번 왕좌를 굳혔다.
28일 광명스피돔에서 열린 ‘서울올림픽 37주년 기념 대상경륜’ 결승전에서 최대 맞수 정종진(20기, SS, 김포)을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임채빈은 경륜계 독보적 존재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반면 지난 6월 왕중왕전에서 임채빈을 꺾으며 반전의 드라마를 썼던 정종진은 8월 창원 특별경륜에 이어 또다시 임채빈의 벽을 넘지 못하며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수성팀의 조직력 vs 정종진의 선행
서울올림픽 37주년 기념 대상경륜은 올해 하반기 첫 대상경륜으로 추석 연휴를 앞둔 지난 26일부터 28일까지 사흘간 치러졌다. 임채빈은 26일 예선에서 김영수(26기, S1, 세종)의 선행을 차분히 몰아가면서 노련한 추입으로 1위를 했다.
27일 준결승에서도 김우겸(27기, S1, 김포)의 선행을 활용하면서 또다시 추입으로 1위를 기록, 체력을 비축하며 철저하게 계산된 경주 운영으로 결승에 올랐다. 반면 정종진은 예선에서 추입, 준결승에서는 과감한 선행으로 결승 진출을 이뤄내며 우승을 향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28일 결승전에는 임채빈과 정종진 외에도 수성팀의 류재열(19기, SS), 손제용(28기, S1), 석혜윤(28기, S1), 김포팀의 공태민(24기, S1) 그리고 기회 포착에 능한 마크·추입의 강자 황승호(19기, SS, 서울 개인)가 출전했다. 수성팀 소속 선수들이 다수 포진하며 전술적 우위를 점한 임채빈은 경주 전 단연 인기 순위 1위에 이름을 올렸다.
◆정종진 선행 감행…임채빈은 완벽 추입
전문가들과 팬들은 임채빈이 정종진을 뒤에 붙인 후 수성팀 다른 선수들을 앞세우는 작전을 펼칠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나 초반 자리 잡기는 공태민-정종진-임채빈-류재열-황승호-손제용 석혜윤 순으로 이루어졌고, 정종진은 예상과 달리 또다시 선행을 감행했다.
그러나 이 전략은 임채빈에게 오히려 기회가 됐다. 정종진의 뒤를 철저히 마크하던 임채빈은 마지막 직선주로에서 여유 있게 역전, 결승선을 가장 먼저 통과하며 우승을 거머쥐었다. 정종진은 더 이상의 역전은 허용하지 않으면서 2착, 임채빈을 줄곧 마크했던 류재열이 3위를 차지했다.
◆선발급 오기호, 우수급 배수철 우승
한편 선발급 결승전은 부정맥으로 2년간 고전했던 오기호(24기, B1, 대전 도안)가 우승을 차지했다. 오기호(24기, B1, 대전 도안)는 예선전, 준결승전, 결승전 모두 거침없는 선행 전법으로 1위를 기록했고, 직전 2회차에서 따낸 6연승까지 더해 총 9연승으로 특별승급에도 성공했다. 선발급 2위는 배준호(24기, B1, 수성), 3위는 진성균(10기, B1, 창원 의창)이 차지했다.
우수급은 배수철(26기, A1, 전주)이 정현수(26기, A1, 신사)의 선행을 영리하게 활용하며 추입 우승을 차지했다. 2위 김태율(28기, A1, 창원 상남), 3위는 정현수였다.
경주 직후 열린 시상식에서 임채빈은 “왕중왕전에서는 우승하지 못했지만 이번에 다시 우승하게 되어서 기쁘다. 수성팀 선수들이 결승전에 많이 진출해 수적 우위를 가진 것이 이번 우승의 주요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동료들과 열심히 준비해 남은 대상 경륜과 그랑프리에서 우승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지난해 4월부터 14회 연속 동반 입상 진기록 이어가
예상지 경륜박사 박진수 팀장은 “이번에도 이변없이 임채빈과 정종진이 1위와 2위를 기록하며 지난해 4월부터 14회 연속 동반 입상하는 진기록을 이어가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두 선수의 총 맞대결 전적은 23전 19승 4패로 임채빈이 앞서있고 이중 동반 입상한 20회 중에서도 임채빈이 17회, 정종진은 3회에 그쳤다. 무게추는 점점 더 임채빈 쪽으로 기울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