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이정윤 기자 = 금융위원회가 송준상 상임위원을 ‘최고핀테크책임자(CFO)’로 지정하고 금융산업 간 핀테크 정책 조율과 대외 소통장구 역할을 수행토록 했다.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은행·보험·금융투자 등 각 업권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금융위는 핀테크가 결제·송금에서 은행 서비스 전반, 보험, 자본, 카드 등 금융 전분야로 확산되고 있어 종합적인 관점에서 이끌어 갈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CFO를 지정했다.
CFO는 업권별로 분산된 핀테크 정책을 총괄·조정하고 일원화된 대외 소통창구 역할도 한다. 금융당국과 핀테크지원센터, 핀테크 산업협회 간 라운드테이블을 마련해 소통도 정례화 할 계획이다.
아울러 상대적으로 금융 인프라가 부족한 동남아 지역 금융당국과 MOU 체결을 추진하는 등 핀테크 국제협력도 강화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간담회는 지난달 20일 발표한 ‘핀테크 혁신 활성화 방안’ 후속조치 추진을 위해 업권별 현장의 의견을 듣고자 마련됐다. 은행, 보험, 금융투자 등 각 업권별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이 참여해 릴레이 형식으로 진행됐다.
김 부위원장은 “IT기술이 금융에 융합됨에 따라 금융서비스에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핀테크 혁신에 따른 금융서비스의 변화와 이를 촉진하려는 정부의 정책방향은 기존 금융권에 위기이자 기회”라고 강조했다.
그는 “신기술을 활용해 기존의 서비스를 고도화함으로써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고 소비자 혜택도 늘릴 수 있다”며 “또 핀테크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상생의 길도 찾을 수 있다”고 두 가지 기회에 대해 말했다.
이어 김 부위원장은 “금융회사와 핀테크기업이 선의의 경쟁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NSP통신/NSP TV 이정윤 기자, nana1011@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