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4일 광주경영자총협회 특강에서 최근 민주당의 추경안 발표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그 내용이 자신이 주장해 온 방향과 유사하다고 언급했다.
김 지사는 35조원 규모의 추경안에서 24조원이 민생 회복, 11조원은 민생 회복, 11조원은 경제 활성화를 위한 투자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 국민에게 25만원의 민생회복지원금을 지급하자는 제안에 대해서는 한계소비성향과 정책 일관성 등의 문제를 지적하며 전체 국민에게 동일한 금액을 지급하는 것보다는 취약계층에 더 집중적이고 두텁게 지원하는 쪽이 낫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어 김 지사는 취약계층이 소비에 대한 의지가 강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집중적으로 재정 지원을 할 경우 더 큰 경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부자들은 소득이 늘어난다고 소비를 늘리지 않지만 취약계층은 생활에 필요한 소비를 늘릴 가능성이 높다”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김 지사는 “전 국민에게 똑같이 나눠주는 것보다 더 힘들고 어려운 계층에 더 촘촘하고 두텁게 지원하자”고 재차 ‘두텁고 촘촘한 지원’을 제안했다.
덧붙여 “소득분위 25% 이하에게 민생 회복 지원금을 준다면 1인당 100만원씩 돌아갈 수 있다”라면서 ‘두텁고 촘촘하게’ 지원해야 하는 이유도 자세히 설명했다.
또한 김 지사는 정책의 일관성에 문제도 제기하며 “추경에 대한 민주당의 입장이 한편으론 책임감 있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불일치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민생 회복 지원금에 대한 의견만큼은 다른 생각을 가져줬으면 한다”라고 말하며 이 부분에 대한 여당의 고민과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정부, 최근 1% 성장률 기록한 경제 상황 매우 심각
마지막으로 김 지사는 윤석열 정부하의 경제 성장률 저조에 대한 비판도 잊지 않았다. 김 지사는 최근 1% 성장률을 기록한 경제 상황이 매우 심각하다고 경고하면서 지난 경제 위기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도 안 좋은 성장률이 지속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해 12월 기자회견에서 ‘대한민국 비상 경영’을 위한 3가지 조치(슈퍼추경, 트럼프 2기 대응을 위한 수출안전판 구축, 기업 기 살리기)를 제안하면서 ‘30조 슈퍼추경’을 정치권에서 처음으로 화두로 꺼냈다.
김 지사는 올해 지난 1월 다시 ‘50조 추경’을 제안하면서 세 가지 용처를 제시했다.
3가지 제시 내용으로는 ▲우리 경제에서 가장 힘들고 어려운 분들에게 돈을 쓰자.(15조 이상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지원) ▲ 어려운 취약계층을 위해 민생 회복 지원금 지급 ▲대한민국 미래 먹거리를 위한 산업정책에 투자(15조 이상 미래 투자) 등이다.
김동연 지사는 이후 광주에서 천주교광주대교구청 옥현진 시몬 대주교 면담, 수피아여고 소심당 조아라기념관 방문,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면담 등 광주 방문 이틀째 일정을 수행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