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김동연 “새로운 대한민국 건설, 개헌 논의 포함해 변화 필요”

NSP통신, 김병관 기자, 2025-02-14 18:35 KRX8
#김동연 #경기도 #강기정시장면담 #광주광역시 #광주정신과새로운대한민국

강기정 광주직할시장과 면담, 새로운 대한민국 만들기 위해 “정치·경제·교육 개혁이 필수”

NSP통신-김동연 경기도지사(왼쪽)가 14일 오후 광주광역시청에서 강기정 광주광역시장과 면담을 하고 있다. (사진 = 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왼쪽)가 14일 오후 광주광역시청에서 강기정 광주광역시장과 면담을 하고 있다. (사진 = 경기도)

(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 14일 광주광역시 방문 소회 가운데 정권 교체 및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의 필요성에 더해 광주정신과 새로운 대한민국에 대한 다짐을 밝혔다.

특히 광주시 방문 중 5.18 민주화묘역 참배, 무안공항 희생자 위로, 광주시장 예방 등 광주 방문을 통해 초심을 다지고 많은 것을 배우는 계기로 삼겠다고 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후 강기정 광주광역시장과의 면담을 갖고 “현재 정치적 불확실성과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헌재에서 탄핵의 빠른 인용과 정권 교체가 필요하다”라면서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G03-8236672469

특히 새로운 대한민국 구상에 있어서는 “제7공화국, 경제 개헌, 권력구조 개편 등의 논의가 필요하며 광주의 여러 지도층 및 시민들과 이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라고 언급했다.

이어 광주광역시와 경기도의 협력은 과거 협약들이 차질 없이 이행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협력을 강조했다.

또 불확실한 정치 상황을 빠르게 해결하고 경제를 재건하며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힘을 모으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김 지사는 극우 유튜버 집회 관련 언급하며 강기정 광주시장이 해당 집회를 불허한 것에 대해 감사하며 현장을 직접 방문해 청년들과 우려를 나눴고 광주시의 슬기로운 대응에 감사를 표하며 지속적인 협력을 약속했다.

이에 강기정 광주시장은 “올해가 광주 방문의 해로 선정돼 많은 방문을 기대했으나 극우 내란 선동 세력의 집회로 우려가 크다”라면서 “5.18 민주화운동의 진원지인 광주는 극우, 쿠데타, 내란 옹호 세력이 설 자리가 없으며 집회의 자유를 넘어서는 문제로 보고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또 5.18 광장 사용 불허 및 금남로 집회 대비에 철저히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특히 “시민들은 민생경제 문제 해결을 위한 추경을 촉구하고 있다며 광주는 기아차, 삼성전자, 타이어, 반도체 후공정(엠코어) 등 4개 주요 산업이 경제를 지탱하며 관세 정책 실패 시 타 큰 타격이 예상된다”라고 우려를 표했다.

이어 “미국과의 관세 대응 마련이 필요하며 핫라인 구축과 대책 논의가 중요하다. 또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10% 상생 카드를 두 달간 시행 중이다”고 밝혔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선(先)개헌 후(後) 대선’을 주장하는 문구가 광주 곳곳에 존재한다며 “7공화국을 통한 대한민국 개조 방안에 동의하나 현재 상황에선 탄핵을 인용시키고 민주 정부 수립 후 국회와 협의해 개헌을 추진하는 것이 순리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김동연 지사는 AI 사관학교 및 경기도-광주 협력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AI 사관학교에 대한 논의가 인상적이었으며 경기도 역시 AI에 큰 관심이 있다”면서 “경기도 AI 스타트업 중 유니콘 기업이 등장했고 광주시와 AI 협력을 추진할 가능성 있다”고 말했다.

이와 더불어 김 지사는 “광주, 전남 지역의 미래 산업과 경제 발전에 대한 갈증이 크다는 점을 인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위협적인 잠재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며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중앙정부 대응이 공백 상태이므로 여야 합의를 통한 초당적 대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선(先) 개헌 후(後) 대선’ 문구를 광주 시내에서 확인했고 7공화국으로 가야 한다는 점이 다수가 동의했다”면서 “현실적으로 대선 전에 개헌은 불가능하며 대선 후보들이 개헌에 대한 사전 합의 및 공약을 통해 빠르게 개헌을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라고 했다.

이어 과거 이재명 후보와 권력구조 개편 및 임기 단축에 대한 합의를 본 경험을 언급, 차기 대통령이 총선과 대선을 맞물려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임기 단축을 결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정치·경제·교육 개혁이 필수적이며 개헌 논의를 포함해 변화가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3-8236672469
[NSPAD]LG그룹
[NSP7컷]인터넷은행의 혁신적인 배신
[NSPAD]용인특례시
[NSPAD]수원시
[NSPAD]경기도
[NSPAD]안산문화재단
[NSPAD]의왕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