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내용 건너뛰기(skip to main content) 본문 바로가기(Go body) 메뉴 바로가기(Go Menu)
G03-8236672469

지난해 경제성장률 3.1% 달성...3년 만에 ‘3%대 성장’

NSP통신, 이정윤 기자, 2018-01-25 09:30 KRD2
#GDP #GDI #경제성장률 #국내총생산
NSP통신-정규일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 (이정윤 기자)
정규일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 (이정윤 기자)

(서울=NSP통신) 이정윤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3.1%를 기록하면서 3년 만에 3%대 성장세를 회복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4분기 및 연간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는 전년보다 3.1%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4년 연 3.3%이래 3년 만에 가장 높다. 2015년과 2016년에는 각각 2.8%를 기록했다.

G03-8236672469

지난해 3분기 성장률이 1.5%로 5년 6개월 만에 최고 성장치를 기록하는 실적을 거둬 4분기에 마이너스 성장률이어도 연간 3% 성장률 달성이 가능해 이번 성장률은 어느 정도 예견된 결과다.

지난해는 민간소비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인 가운데 건설투자가 높은 증가세를 이어가고 설비투자가 큰 폭 증가로 전환했다.

민간소비는 2.6% 증가하며 2011년(2.9%) 이후 6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반면 정부소비는 3.7%, 건설투자는 7.5% 증가하며 각각 2년 만에 가장 낮았다. 설비투자는 14.6% 오르며 2010년(22%) 이래 7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경제활동별로는 서비스업의 증가율이 낮아졌으나 제조업의 증가폭은 확대되고 건설업이 높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제조업 성장률은 4.2%로 2011년(6.5%) 이래 6년 만에 최고였고 건설업은 7.2%로 전년(10.5%)보다 낮았다. 서비스업은 2.1% 성장하며 2009년(1.5%) 이래 8년 만에 최저치로 나타났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년대비 3.4% 성장했다. 전년 4.2% 증가율보다는 하락했지만 반도체 가격 상승 등에 따른 교역조건 개선으로 실질 GDP 성장률(3.1%)을 상회했다.

NSP통신- (한국은행)
(한국은행)

한편 지난해 4분기 실질 GDP는 전분기 대비 0.2% 감소했다. 2008년 4분기(-3.3%) 이후 9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다.

정규일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10월 초 장기 추석연휴를 앞두고 9월에 조기통관이 늘어 3분기에 워낙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고 그에 따른 기저효과”라며 “이는 일시적인 요인으로 실제 전년 동기대비로는 3% 성장을 했다”고 설명했다.

4분기 민간소비는 전기대비 1% 증가해 지난해 2분기 수준을 회복했다. 반면 건설투자는 3.8% 감소하며 12분기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가 줄면서 0.6% 감소했다. 지식재생산물투자는 연구개발 및 소프트웨어 등이 늘어 1.3% 증가해 2015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았다.

수출은 5.4% 감소해서 1985년 1분기(-8.7%) 이래 최저였다. 반도체는 늘었지만 자동차 등이 감소했다. 수입은 기계류 등을 중심으로 4.1% 감소해 2011년 3분기(-4.2%) 이래 가장 낮았다.

경제활동별로 보면 제조업은 -2%, 건설업은 -1.5%로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서비스업은 부동산 및 임대업은 줄었지만 정보통신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늘어나며 0.4%를 기록했다.

실질 GDI도 실질 GDP가 줄어들고 교역조건도 악화되면서 1.3% 감소했다.

NSP통신- (한국은행)
(한국은행)

NSP통신/NSP TV 이정윤 기자, nana1011@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